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소음 노출 근로자 건강진단 판정 기준 세부지침 개발

연구책임자
이지호 외 7명
수 행 연 도
2019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소음 노출 근로자에 대한 근로자건강진단 판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근로자가 소음 노출에 의한 청력손실에 대하여 일관된 판정을 받지 못하고 조기 난청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할 수 있음

-특수건강진단기관 청력정도관리 수행 중에 판정 기준 부재에 따른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 하기 위해 명확한 판정 기준을 설정하여 근로자건강진단의 예방적 목적을 제고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연구결과

-청력도의 판정에서 고려해야할 기본사항은 오디오그램의 형태(descending type, notch), 판정기준(3분법 30 dB, 4 kHz 50 dB), 기도-골도 차(10 dB 이하), 이경 소견(천공, 혼탁) 및 팀파노메트리(A) 유형, 과거병력(중이염, 군경력 등 직업 외 노출), 변화양상(기초청력과 최근변화) 등이며 이를 근거로 판정되어야 함

-특수건강진단에서 제공되는 청력도와 일부 기본적 내용만으로는 청력손실의 원인을 정확히 판단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이러한 한계점 내에서도 타당한 판정을 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 하고자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음

-현재의 내용으로 청력판정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나, 향후 판정의의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는 과정과 제안을 반영하는 과정이 요구되며 더불어 판정의의 정기적인 교육이 필요 하다고 생각됨

시사점

-청력도 판정의 가이드라인 개발은 현행 청력정도관리 수행 중에 판정 기준 부재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판정의사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청력판정 기준을 제시함. 다만 여기서 제시한 내용은 판정과 관련된 최초의 자료이므로, 그 동안의 문헌과 자료를 바탕으로 참고가 될 만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향후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함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울산대학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이지호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직업건강연구부 최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