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활선작업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건강장해 기초 연구

연구책임자
이상길 외 3명
수 행 연 도
2017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극저주파 전자기장의 경우 많은 건강장해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의심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확립된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특히 대부분의 이와 관련된 연구가 거주민을 대상으로 한 저노출군을 대상으로한 연구이기 때문에 직업적 고노출군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활선 작업의 경우 전자기장 고노출군으로 이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2. 주요 연구내용 활선 작업자들에 대해 8개소, 배전 전기원 28명, 사선작업 현장 2개소 9명에 대한 극저주파 자기장을 측정했으며, 산술평균은 1.30±15.54 μT이었고 측정된 값의 범위는 0.5∼1,671.5 μT이었으며 Ceiling 값의 범위는 18.5∼1,671 μT이었다. 60 Hz 주파수 대역의 우리나라 전기는 ELF-MF 최대값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한 평가방법으로 미국 ACGIH와 ICNIRP의 직업인 노출기준(1,000 μT, Ceiling)을 초과한 경우가 2명의 작업자에서 측정되었다. 2000년대 이후 역학적인 연구 결과, 해외 과학 기구의 연구 결과 보고서들을 문헌 고찰하였을 때, 현재의 역학적 증거, 실험 연구의 증거, 기전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볼 때 전자기장 노출과 관련하여 건강영향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는 확증적 증거는 부족하다. 하지만, 성인의 암, 퇴행성 신경질환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가 향후에는 다른 결론을 만들어낼 가능성은 존재한다. 활선작업자의 건강영향의 경우 그 위험도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보다 사고, 질병 발생과 같은 결과의 사례를 정확히 수집하여 감시할 감시체계의 운용이 필요하다. 3. 연구 활용방안 활선 작업자에서의 전자기장 노출평가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이들에 대한 건강관리 방안을 구성하는 데 활용이 가능하다.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이상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