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의료기관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도구 현장 적용

연구책임자
백희정 외 5명
수 행 연 도
2019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직무스트레스는 노동자 스스로 교정할 가능성이 낮고, 피하기 어려우므로 예방수준에서 관리 되어야 하며,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 대두되고 있는 간호사의 업무 특성과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평가에 한계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음

-2018간호사 직무스트레스 평가제도 마련에 관한 정책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Korean Nurses’ Occupational Stress Scale [K-NOSS])를 검토하여 수정·보완한 후, 현장조사를 통해 평가 규준을 마련하고, 도구 사용 지침을 개발하는 것과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의 반응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주요 연구내용

연구결과

-2018년 개발한 한국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NOSS)직무요구영역에서 9개 요인 29개 문항으로,‘직무자원영역에서 5개 요인, 16문항인 총 14개 요인, 45개 문항으로 재구성 하고, 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의원급을 제외한 4개 종별 의료기관인 상급종합 병원, 종합병원, 병원과 요양병원에 종사하는 현직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9820일부터 4주간, 인터넷 기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함

-수집된 5,864개의 자료에 대해 지역, 의료기관 종별, 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두고 사후보정하여, 보정된 가중치의 합이 모집단과 같도록 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요인별 문항 수에 차이가 있으므로, 요인별 점수는 환산점수를 적용하고, 원점수와 환산점수에 대한 사분 위수를 산출하여 평가를 위한 규준을 마련함

-간호사 직무스트레스의 환산점수는 가중평균이 58.1점이었고, 영역별로는 직무요구영역이 61.7, ‘직무자원영역이 51.6점이었고, ‘직무요구영역 중 인지적 업무요구영역의 가중 평균이 81.4점으로 가장 높았음

-남자간호사보다 여자간호사의 스트레스 환산점수가 높았고,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 병원 순으로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으며, 근무부서는 응급실, 중환자실, 일반병동, 수술실, 외래 순이었음. 근무경력별 직무스트레스는 1년 이상 2년 미만의 간호사가 가장 높았음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반응은 우울/불안이 각각 8.2/9.4점으로 불안장애’, ‘우울장애수준 이었고, 수면장애가 11.6점으로 경계성 불면증수준임. ‘30세 이상 35세미만의 간호사에서,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1년 이상 2년 미만, 교대근무자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임

-의료기관에서 한국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NOSS)를 이용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측정 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사용 지침을 개발함

시사점

-의료기관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이므로, 의원을 제외한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개인단위, 부서단위 등으로 직무스트레스를 평가할 수 있으며, 직무요구 및 자원차원의 직무스트레스를 확인함으로써 조직차원의 직무스트레스 유발 요인을 확인하고, 해결책 마련에 활용할 수 있음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백희정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직업건강연구부 이화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