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26페이지 내용 : 추락으로 인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는 그네식 안전대 사용! 작업 종류에 맞는 형태의 안전대 선택하되 추락방지를 위한 죔줄은 반드시 등 부위의 D링에 연결해야 함! B ody support 안전대 안전대를 고정점 또는 고정장치에 연결해주는 장치로, 노동자 1인당 약 2.2톤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어야 함! 현장 상황에 적합한 연결장치를 선택하여 사용! C onnectors 연결 장치 ▲ 일반적인 고소작업 ▲ 건설현장 ▲ 맨홀 작업 ▲ 죔줄 ▲ 추락방지대 및 수직구명줄 ▲ 스냅훅 ▲ 안전블록 ▲ D링 ▲ 수평구명줄 ▲ 카라비너 ▲ 앵커훅 및 연장봉 측면의 D링은 자세유지 용도로만 사용 단, 추락방지대에 각인된 구명줄의 직경을 확인하고 사용 높은 곳에 앵커 설치 가능 어깨의 D링은 작업자 상승·하강 용도로만 사용 Kosha+24

페이지
책갈피 추가

27페이지 내용 : 잠깐! 충격흡수장치가 부착된 죔줄은 충격을 감소시켜주는 대신 추락거리가 증가하므로, 고정점 연결 시 연결높이 계산에 유의해야 한다! ▲ 트라우마 스트랩 ▲ 구조 사다리 추락 시 구조를 위한 장치도 준비해주세요 그네식 안전대를 착용하였더라도 30분 이상 매달려 있을 경우, 신체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위험하므로 신속한 구조 필요! 안전대 착용 시 점검사항 착용 전, 로프 등이 마모되거나 금속제가 변형되지 않았는지, 죔줄의 재봉상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여 훼손 시 교체 필수! ※ 고정 스트랩, 구명줄, 죔줄, 안전블록 와이어 등 파단으로 인한 사고 빈발 작업 시작 전, 안전대와 부속설비가 잘 연결되었는지 점검! 로프 등 죔줄의 길이는 가능한 2m 이내로 짧게 사용! 안전대의 죔줄이 예리한 구조물 등에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 1 벨트 •D링을 고정하는 재봉사의 손상 여부 •벨트 재봉사의 심한 손상 여부 2 죔줄 •마모로 인한 직경 감소 여부 •죔줄 가닥의 절단 또는 꼬임 여부 •불에 타거나 풀림 여부 3 부속 철물 •훅 스프링의 정상작동 여부 •D링의 누락 또는 변형 여부 •철물 각 부위에 손상 또는 느슨함 여부 일상 점검 사항 잠깐! 위 사항은 기본적인 주요 점검사항이며, 제조사가 제공하는 사용방법 설명서를 반드시 확인하고 그에 따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25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