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8페이지 내용 : 맞고, 깔리고, 넘어지고 나무가 위협하는 임업 최근 5년간 20172021 임업에서 발생한 재해를 살펴보면 총 5,015건 중 기계톱 등 휴대용 공구에 의한 재해가 3,060건 61% , 사망사고는 총 67명 중 벌도목 등 식물·목재에 의한 사망이 42명 62.6% 으로 가장 많았다. 산림에서 수행되는 작업 중에 절단·베임·찔림, 벌도목 등에 깔림·뒤집힘 등으로 다치고 사망하는 임업의 재해 사례와 예방대책을 살펴본다. 참고자료. 「중소기업을 위한 안전보건관리 자율점검표-임업」, 안전보건공단 그림. 벼리A 6 Theme 임업포커스

페이지
책갈피 추가

9페이지 내용 :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있는 임업 임업은 임산물에서 얻는 경제적 이익을 위해 삼림을 경영하는 사업이다. 임업은 묘목과 종자를 생산하고 산림에서 나무를 심고 가꾸는 영림업, 원목과 연료용 목재를 벌목하는 벌목업, 야생 식물과 식물성 물질을 채취하는 임산물 채취업, 임업 관련 서비스업으로 분류된다. 임업은 지형이 험준한 산지에서 부피가 크고 무거운 목재를 다루기 때문에 산업재해의 발생 위험이 높다. 산악지의 장애물과 경사 때문에 미끄러지기 쉽고, 산림작업 도구 및 기계톱 등 기계장비도 위험요소다. 보통 작업 장소가 넓고 계속 옮겨 다니며 일하기 때문에 안전관리가 어렵고 독충, 말벌, 구르는 돌 등에 사고를 당하기도 쉽다. 또한 지형, 날씨 등 자연적인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임업 작업은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고령·여성 근로자의 분포가 많으며, 벌목 등 작업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재해가 발생한다. 임업 작업의 분류와 정의 작업 내용 풀베기 예초기, 낫 등을 이용해 풀을 베는 작업 어린 나무 가꾸기 임지에 있는 어린 나무가 잘 자라게 주변 풀, 유해 수종, 덩굴류 등을 제거하는 작업 가지치기 좋은 수형이나 우량 목재 생산 등의 목적으로 가지 일부를 잘라내는 작업 솔잎혹파리 등 방제 작업 소나무 솔잎혹파리 방제 작업으로 천공기로 소나무에 구멍을 내고 약제를 주입하는 작업 벌목 작업 기계톱, 낫 등을 사용해 산림 현장에서 나무를 베어내는 작업 조재 작업 임목을 베어 용도에 맞고 운반하기 편리하게 가지를 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작업 집재 작업 절단된 벌도목▝을 운반하기 편리한 장소에 모으는 작업 운재 작업 집재된 원목, 절단목을 운반하는 작업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임업 작업의 10가지 재해 유형 ❶ 벌목한 나무가 넘어지거나 떨어지면서 근로자가 나무에 맞는 재해 ❷기계톱 작업 시 기계톱에 의해 신체에 상해를 입는 재해 ❸취약한 산지 지형 조건에 따른 미끄러짐, 나무, 돌, 덩굴 등에 걸려 넘어짐 ❹풀베기, 덩굴 제거 등 낫을 이용한 작업 시 무리한 힘을 가하여 낫에 베이거나, 낫을 들고 이동 시 넘어지면서 상해를 입는 재해 ❺ 풀베기 작업 등 예초기를 이용한 작업 시 파손된 날, 나뭇조각, 돌조각 등이 날아와 상해를 입는 재해 ❻ 산지 특성상 경사지 위에서 낙석, 굴러오는 나무 등에 맞는 재해 ❼ 차량 등의 작업이나 이동을 위한 차량, 오토바이 등에 의한 교통사고 ❽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쯔쯔가무시 등 진드기에 의한 감염성 질환 ❾ 말벌, 뱀, 해충 등에 물리는 재해 ❿ 나무 등을 인력으로 운반 중 무리한 동작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 ▝벌도목 伐倒木 벌목 과정에서 떨어지거나 쓰러지는 나무 또는 나무토막7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