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16페이지 내용 : 주요 기인물별 떨어짐 사고 위험요인과 안전대책 개구부 개구부는 바닥에 뚫린 구멍 또는 그 부분을 총칭하는 것으로 환기, 통행, 투시, 자재 반출 등의 목적으로 바닥에 트인 부분을 말하며 집수정, 오수정화조, 배수로, 맨홀 등이 있다. 개구부에서는 주로 ❶ 작업·보행 중 실족이나 미끄러짐, 헛디딤에 의한 떨어짐,❷점검·보수·청소 등의 작업 중 떨어짐 등으로 사고가 발생한다. 이동식 비계 강관비계로 틀을 만들고 바퀴와 안전장치를 부착해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이동식 비계이다. 이동식 비계에서는 ❶ 작업발판 설치불량, ❷ 작업발판 단부 안전난간 미설치, ❸ 벽이음, 아웃트리거 등 넘어짐 방지 조치의 미흡 등이 떨어짐 사고의 원인이다. 화물자동차 화물자동차는 건설 현장 내 자재 및 화물을 운반한다. 화물 상·하차 작업 중❶ 화물 적재 및 하역 중에 적재함이나 차량 상부, 화물 위에서 떨어짐,❷적재함에 탑승하여 주행 중 떨어짐,❸손상된 짐걸이 로프 작업 중 떨어짐 등으로 인해 사망재해가 발생한다. 사고발생 요인 재해예방 대책 바닥 개구부 덮개 미설치·미고정 및 개구부 표시 미실시 개구부에 덮개를 설치하고, 덮개가 이동할 수 없게 고정하며 경고표지를 설치함 방호울, 안전난간 미설치 떨어짐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안전난간, 울타리 등을 설치해 접근을 제한함 안전시설 해체하고 작업 또는 미복구 안전시설 해체 사유가 소멸되었다면 원상 복구함 주변 조명 미설치로 적정 조도 미확보 최소 75Lux 이상 조도를 확보하거나 조명등 설치·휴대용 조명기구를 사용함 개구부 주위에서 안전대 미착용 개인보호구 착용 및 관리 감독 철저 사고발생 요인 재해예방 대책 이동식 작업대 위에서 중량물 취급 작업 중 몸의 균형 상실 발판 단부에 떨어짐 방지용 안전난간 설치, 작업자는 안전대를 걸고 작업함 불량 조립·설치된 작업대 뒤틀림 전용 철물로 벽이음을 견고하게 설치함 목재, 벽돌 등을 기둥 고임재로 설치·사용 폭이 넓고 견고한 재료의 고임재 사용, 아웃트리거를 설치함 이동식 작업대 탑승한 채로 이동 작업대 이동 시에는 작업자 탑승을 금지함 승강설비가 미설치된 이동식 작업대 승강 승·하강 시 반드시 승강설비 사용함 이동식 작업대 위 중량물 적재 후 작업 최대 적재하중 250kg 초과 자재의 적재를 금지함 사고발생 요인 재해예방 대책 화물자동차 전용 승강설비 없이 승강 전용 승강설비 사용 불안전한 적재물 위로 승강 적재물 승강 철저 화물 위에서 이동 및 중량물 취급 고소작업에서 중량물 이동 작업 금지 적재함에 탑승하여 차량 이동 적재함 탑승 제한, 부득이한 경우 방호울 등 떨어짐 방지 조치 후 작업 안전모·안전대 등 보호구 미착용 개인 보호구 착용 및 관리 감독 철저14

페이지
책갈피 추가

17페이지 내용 : 사다리 사다리는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 오르내리는 데 쓰이는 도구로 철재,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설치해 이동 통로로 사용하는 고정식 사다리와 일자형 사다리, 신축형 사다리, 발붙임 사다리 A형 등이 있다. 사다리는 이동통로이므로 작업발판으로 사용을 지양해야 하며 주로❶높이 3.5m이내에서 떨어짐,❷안전모 미착용 등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다. 지붕 지붕은 건물 꼭대기 부분을 덮어 씌우는 덮개이다. 지붕에서는 ❶ 경사 지붕 단부 안전난간 미설치, ❷ 안전대 미착용, ❸ 지붕 파손으로 인해 주로 사고가 발생한다. 사고발생 요인 재해예방 대책 사다리 하단 미끄럼 방지조치 및 넘어짐 방지조치 미실시 미끄럼 방지장치 설치 및 쐐기·결속 등의 넘어짐 방지조치를 함 견고하지 않은 구조의 사다리 이용 사다리 상·하부 전도방지조치를 실시함 사다리 설치각도 무리하게 확장해 사용 사다리 설치 각도는 75° 이내로 유지 물건을 손에 들고 사다리에 승강 맨손 상태로 사다리에 승강하고 별도 자재 운반 계획을 수립함 강도 불량, 변형된 사다리 사용 파손되지 않은 견고한 금속제 사다리를 사용함 안전모 등 개인 보호구 미착용 안전모, 안전대 등 보호구를 철저히 착용함 사고발생 요인 재해예방 대책 개·보수 작업 중 슬레이트 및 채광용 지붕 Sun-Light 이 파손 작업 시 폭 30cm 이상의 안전한 작업발판 또는 떨어짐 방호망을 설치함 슬라브 단부 등 지붕의 위험지역 및 구조 등을 인지 못한 상태로 작업 작업 전 위험성평가 및 안전교육 실시, 안전난간 설치 등 위험요인을 제거 후 작업함 안전모, 안전대 등 개인 보호구 미착용 개인 보호구 착용하고 작업하도록 관리함 안전대 걸이 시설 없이 작업 안전대 걸이 시설을 설치하고 안전대 착용 후 작업을 실시함 지붕에서 이동 중 돌출물에 걸려 넘어짐 돌출물 제거, 자재 정리 등을 하고 작업함 달비계 로프 등을 이용해 지붕 위 고정점과 작업대를 연결하는 형식의 비계를 말하며, 주로 건물 외벽 도장·도색·청소 작업에 사용된다. 달비계에서는 주로 ❶ 안전대 및 떨어짐 방지대 미설치·미체결, ❷ 로프 고정 불량, ❸ 노후화된 작업대 파손 등으로 사고가 발생한다. 사고발생 요인 재해예방 대책 수직 구명줄 미설치 탑승 전 떨어짐 방지대 및 안전대를 수직 구명줄에 체결함 안전대 및 떨어짐 방지대 미설치·미체결 안전모·안전대 떨어짐 방지대 를 지급·착용함 로프 체결 풀림 등 불량 또는 파단 지지로프 결속·파손 상태 및 고정부·접속부 상태를 확인함 로프 길이 부족 로프 접촉부 마모 가능성 있는 경우 보호대 설치 등 보호조치를 실시함 노후화된 작업대 파손 위험 적정한 길이의 로프를 사용함15

다운로드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