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10페이지 내용 : 육상 운송장비로 화물을 운반·처리하는 육상화물취급업 육상화물취급업에서는 기업화물, 일반화물, 수입 및 수출 화물, 이사 화물, 특수화물 등을 화물자동차, 지게차, 컨베이어, 이삿짐 운반용 리프트 등을 이용해 상·하차 작업과 창고 입출고를 위한 화물 운반 작업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떨어짐, 부딪힘, 끼임, 교통사고, 근골격계 질환 등의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참고자료. 「육상화물취급업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가이드· 육상화물취급업 안전실무길잡이」, 안전보건공단 그림. 예뜨 육상화물취급업의 5대 사망사고 발생 원인 ❶지게차 등 운반하역기계의 끼임에 의한 사망 ❷이삿짐 운반용 리프트 사용 시 작업자 떨어짐으로 인한 사망 ❸운반기계와 화물에 작업자 끼임 사망 ❹화물차 상부에서 작업 시 작업자가 떨어져 사망 ❺사업장 내외에서 교통사고 8 Theme 육상화물취급업포커스

페이지
책갈피 추가

11페이지 내용 : 육상화물취급업 주요 위험요인과 재해 현황 육상화물취급업은 철도화차, 화물자동차 등을 이용한 화물의 상·하차 작업과 창고 입출고에 따른 화물 취급, 기계장치 등 중량물의 상·하차 작업 및 공장 내의 화물 운반 작업을 말한다. 또한, 자동차를 차량 또는 개별적으로 운전하여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자동차 탁송 사업과 이삿짐센터의 이사 화물 취급 사업 등도 포함된다. 육상화물취급업에서 발생하는 위험 요인에는 화물 적재물 무너짐, 운반기계 및 인력운반에 따른 넘어짐, 부딪힘, 끼임, 근골격계 질환 등이 있다. 또한 육상화물취급업의 특성상 중량이 있는 화물 운반을 위해 지게차, 컨베이어, 이삿짐 운반용 리프트, 인력운반 기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끼임, 맞음 등의 위험이 발생하며, 화물차량의 장시간 운행과 반복적인 인력 운반 작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및 직무 스트레스의 유해·위험요인이 잠재되어 있다. 이삿짐 운반을 할 때는 이삿짐 운반용 리프트의 운반구에 탑승해 이동하거나 화물차량의 적재함에서 화물 상·하차 작업 시 떨어짐, 화물을 인력으로 들고 이동하는 중 넘어짐 및 요통 재해의 발생 위험도 높고, 특히 3월부터 5월까지 이사가 집중되어 이삿짐 센터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비중이 크다. 육상화물취급업 관련 업종에서 최근 5년 20172021 동안 발생한 사고사망재해의 기인물을 분석한 결과, 사고사망자 43명 중 육상 교통수단 20명, 운반인양 설비 및 기계 13명, 가공설비 3명, 용기 및 기구 2명, 기타 부속물 및 전기설비 부품 가 5명이었다. 육상화물취급업 관련 업종 사망사고 기인물별 사망사고 발생 빈도 현황 20172021 육상 교통수단 운반, 인양 설비·기계 일반제조 및 가공설비, 기계 용기, 기구 등 기타 부속물 전기설비 부품 등 떨어짐 교통사고 부딪힘 끼임 감전 깔림 맞음 무리한 동작 화재 기타 0 2 4 6 8 10 12 14 16 18 주요 발생형태별 현황 20172021 47% 20명 30% 13명 5% 2명 7% 3명 11% 5명 16명 8명 5명 4명 2명 2명 2명 1명 1명 2명9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