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14페이지 내용 : 육상화물취급업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안전수칙 육상화물취급업에서는 화물자동차 등을 이용한 화물 상·하차 작업, 기계장치 등을 사용한 중량물 작업 등 육상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다양한 공정을 거친다. 화물을 운송장비로 적재·하역하고, 운송수단을 이용해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위험요인과 안전수칙을 알아본다. 참고자료. 「육상화물취급업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가이드·육상화물취급업 안전실무길잡이」, 안전보건공단 12 Theme 육상화물취급업 안전SEE그널

페이지
책갈피 추가

15페이지 내용 : 육상화물취급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물자동차 육상화물취급업은 화물자동차를 이용하는 비중이 가장 높으며, 주로 택배업・창고업・물류센터・이삿짐 센터・제조공장과 도・소매업종 등에서 화물운반 작업에 사용한다. 육상화물취급업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화물자동차는 적재함 바닥의 면적이 2m2 이상인 일반형 화물자동차, 지붕 구조의 덮개가 있는 밴형 화물자동차, 특정한 용도를 위한 특수한 구조이거나 기구를 장치한 특수용도형 화물자동차가 있다. 적재량별로 구분하면 최대 적재량이 1톤 이하, 총중량이 3.5톤 이하는 소형화물자동차, 최대 적재량이 1톤을 초과하고 5톤 미만이거나 총중량이 3.5톤을 초과하고 10톤 미만인 것은 중형화물자동차, 최대 적재량이 5톤 이상이거나 총중량이 10톤 이상인 것은 대형화물자동차로 분류된다. 육상화물취급업 에는 1톤 이하의 소형화물자동차 이용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 운행 중에는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다. 또한 화물자동차에 화물을 상・하차하는 작업에서 지게차와 컨베이어의 사용 빈도가 높고, 이사 작업에서 이삿짐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사용하는 이삿짐 운반용 리프트 사다리차 등의 위험기계・기구로 인한 재해가 발생한다. 육상화물취급업의 주요 공정 육상화물취급업은 사전점검, 분류 및 적재, 상·하차, 포장・체결, 차량 운행의 주요 공정을 거친다. ‘사전점검’에서는 적재물, 타이어, 고임목, 주요 구동부 등의 상태를 확인하고 운행을 위한 주유 등의 작업이 진행되며, ‘분류 및 적재’ 공정에서는 최종 목적지, 화물터미널까지 간선 운송을 위해 취합된 화물을 지게차 등의 하역운반 기계를 이용해 분류하고 화물자동차에 적재한다. ‘상·하차’ 작업은 최종 목적지 또는 화물터미널까지의 간선 운송을 목적으로 하며, 인력·지게차·컨베이어 등을 이용한다. ‘포장・체결’은 운행 중 낙하 방지를 위한 로프 체결 및 우천을 대비한 우수방지포 설치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차량 운행’은 도로를 이용해 화물자동차를 운전하여 화물을 납품하는 작업으로 각종 차량들을 이용한다. 화물자동차 종류 일반형 밴형 특수용도형 출처. 현대자동차13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