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마당
- 홈
- 자료마당
- 산업재해통계
-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 주요결과
- 심리사회적 위험 대응 현황
심리사회적 위험 대응 현황
- 심리사회적 위험 대응 절차로 업무 관련 폭력 발생시 대처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 경우가 3개 업종 모두 5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 심리사회적 위험 해결방안으로 분쟁해결 절차 설정 및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음
심리사회적 위험의 대응 절차 마련 여부
- 심리사회적 위험의 대응 절차 마련 여부
- 업무 관련 스트레스 발생시 대처 절차 마련
- 제조업(n = 2,015) : 44.4%
- 7대 기타산업(n = 2,155) : 59.6%
- 건설업(n = 1,049) : 43.8%
- 따돌림이나 괴롭힘 발생시 대처 절차 마련
- 제조업(n = 2,015) : 48.9%
- 7대 기타산업(n = 2,155) : 63.6%
- 건설업(n = 1,049) : 43.8%
- 업무 관련 폭력 발생시 대처 절차 마련
- 제조업(n = 2,015) : 55.7%
- 7대 기타산업(n = 2,155) : 68.5%
- 건설업(n = 1,049) : 51.7%
심리사회적 위험 해결 방안 마련 여부
- 심리사회적 위험 해결 방안 마련 여부
- 업무 구성 방식 변경
- 제조업(n = 2,015) : 52.2%
- 7대 기타산업(n = 2,155) : 60.3%
- 건설업(n = 1,049) : 48.3%
- 업무 공간 지배치
- 제조업(n = 2,015) : 57.7%
- 7대 기타산업(n = 2,155) : 64.1%
- 건설업(n = 1,049) : 49.8%
- 분쟁 해결 절차 설정
- 제조업(n = 2,015) : 65.5%
- 7대 기타산업(n = 2,155) : 74.1%
- 건설업(n = 1,049) : 51.8%
- 근로자에 대한 비밀 상담
- 제조업(n = 2,015) : 48.6%
- 7대 기타산업(n = 2,155) : 60.2%
- 건설업(n = 1,049) : 47.1%
- 업무 시간 변경
- 제조업(n = 2,015) : 41.1%
- 7대 기타산업(n = 2,155) : 56.4%
- 건설업(n = 1,049) : 47.7%
- 교육 훈련 제공
- 제조업(n = 2,015) : 59.7%
- 7대 기타산업(n = 2,155) : 68.4%
- 건설업(n = 1,049) : 60.6%
심리사회적 위험 대응 현황(2)
- 3개 업종 모두 심리사회적 위험 관리방안에 대해 장시간 업무나 불규칙하나 업무 일정을 금지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사업장 내에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 담당자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전체 사업장의 절반 이상으로 나타남
- 심리사회적 예방활동을 하는 이유로는 3개 업종 ‘법적 의무 이행’ 이유를 꼽은 경우가 가장 많았음
심리사회적 위험 관리 방안 마련 여부
- 심리사회적 위험 관리 방안 마련 여부
- 장시간 업무, 불규칙한 업무 일정 금지 방안
- 제조업(n = 2,015) : 70.0%
- 7대 기타산업(n = 2,155) : 75.6%
- 건설업(n = 1,049) : 62.4%
- 근로자에게 심리사회적 위험이 안전보건에 미치는 영향 고지
- 제조업(n = 2,015) : 62.1%
- 7대 기타산업(n = 2,155) : 69.2%
- 건설업(n = 1,049) : 66.2%
- 사업장내에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 담당자 보유
- 제조업(n = 2,015) : 46.6%
- 7대 기타산업(n = 2,155) : 57.3%
- 건설업(n = 1,049) : 46.2%
심리사회적 예방 활동을 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