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건설업 직종별 노출매트릭스 구축연구(4)

연구책임자
박현희 외 4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는 직업성 천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이며,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에 대한 발암 가능 물질(Group 2B)로 규정하고 있음. * 건설현장 우레탄 방수작업에서 사용하는 도료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류가 함유되어 있으며, 작업자 직접 도포방식으로 공기 중 또는 피부를 통해 노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노출수준에 대해 조사된 자료가 없음. * 이번 연구에서는 건설업 우레탄 방수작업자에게 노출되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의 노출농도 수준을 파악하여 건설현장 근로자의 직업성 천식 등 발생과의 연관성 등 규명자료로 활용하고, 작업환경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 국내 건설현장 방수업 및 방수공의 규모는 약 2,000여개소, 약 20,000명으로 추정되며, 전체 건설직 근로자의 연령분포과 비교하여 50, 60대 근로자 비율이 높아 고령화 되어있는 특성이 있고, 호흡기 질환(일반질병)의 요관찰자 비율이 특수건강진단 수검자의 10.4% 수준으로 높았음. * 건설용 우레탄 방수도료에는 발암성, 생식독성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발암성으로는 4,4‘-메칠렌비스(2-클로로아닐린),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이산화티타늄, 카본블랙, 케로젠 등이 있었고 생식독성물질로는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등이 함유되어 있었음. * 일반건축물을 신축하는 5개 건설현장의 옥상, 1층 주차장, 건물 내부 우레탄 방수작업을 대상으로 TDI의 농도를 평가한 결과, 2,4-TDI 기하 평균농도는 0.058 ppb(범위 0.01 ~ 0.5 ppb)이었고, 2,6-TDI는 0.523ppb(0.026 ~ 22.81 ppb)로 노출기준의 1/10 미만 수준이었음. 다만, 전체 시료 중 2,6-TDI에서 네 개 시료가 노출기준을 초과하였음. * 2,4/2,6-TDI의 공기 중 노출평가결과 2,6-TDI 농도가 2,4-TDI 농도보다 약 10배 더 높았으나, 두 물질 농도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약하였음. * 시료포집방법으로는 필터방법과 임핀저 방법을 비교한 결과, 2,4-TDI에서는 농도간 상관성이 약하였으나, 2,6-TDI는 필터와 임핀저 간의 상관성이 매우 강하였고, 임핀저법으로 평가한 농도수준이 필터법보다 약 5.7배 더 높았음. 임핀저법으로 평가한 2,6-TDI 시료의 약 26%는 노출기준을 초과하였음. 방수도료 도포작업에서 발생되는 입자 크기 및 다량체 함량 등의 차이가 원인으로 판단됨. * 우레탄 도료를 사용한 방수작업에 대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노출평가 결과, 톨루엔, 에틸벤젠, 크실렌, 에틸 아세테이트(초산 에틸), n-부탈아세테이트(노말 초산 부틸)가 검출되었으며,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혼합물질 평가결과(n=63), 기하평균이 0.743로 노출기준의 약 75%수준이었으며, 25개 시료(39.7%)는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음. * 디이소시아네이트 농도는 작업종류(배합, 도포, 보조작업 등) 및 작업공간의 특성에 따라서는 농도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경우는 롤러 및 프라이머 작업, 실내작업인 세대 내부 욕실바닥과 필로티 층 우레탄 도포작업에서 농도수준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휘발성유기화합물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 우레탄 방수 작업도구에서 채취한 디이소시아네이트 노출농도는 믹서기 (mixer)에서 평균색도가 1.58로 가장 높았고, 롤러(roller) (0.94), 따개(opener) (0.67)순으로 높았음. 작업도구에서의 표면 평가 결과는 사업장에 따라 상이하여, 사업장별 작업도구 관리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음. 이번 연구의 피부노출평가에서는 보호의 및 보호장갑 등의 착용으로 검출이 거의 되지않았으나, 작업도구 오염 및 계절영향에 따른 노출 잠재위험을 확인하였음. * 우레탄 방수작업자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소규모 조사임에도 불구하고 TDI 사용자에서 상당수가 호흡기, 피부질환 증상을 겪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그 중 1명에서는 천식, 피부증상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어 TDI 노출과의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음. - 시 사 점 * 디이소시아네이트류는 공기 중 농도가 극히 낮더라도 천식환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발암성 등 작업자의 건강에 중대한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물질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공기 중 노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배합작업 등 도료를 집중적으로 취급하는 작업에 이동식 국소배기장치를 사용하거나, 실내 방수 작업에서는 전체 환기를 위한 환기팬의 사용 등이 검토될 필요가 있음. 또한 작업 후 배합기(mixer) 및 롤러 등 작업도구에 대한 주기적인 세척 등 관리를 통해 작업자의 피부노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음.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 공기 중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평가할 때는 발생되는 입자의 크기 및 도료의 특성(단량체, 다량체 등)을 확인하여 가장 적절한 노출평가방법을 정하여 평가하여야 하며, 향후 총 이소시아네이트(total NCO기)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및 정량화된 피부노출평가 방안에 대한 국내 현장평가 적용 연구 등이 필요함. * 향후, TDI 노출자에 대한 의학적인 조사를 수반한 대규모 조사를 수행하여 증상자의 규모를 정확히 측정하고, 호흡기 증상, 피부 증상 전체를 포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활 용 * 건설업 보건관리자용 업무 가이드라인 개발 * 산업보건학회 학술대회 발표 및 국내외 산업보건관련 학회지 논문 발표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현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