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항공기 청소노동자 유해인자 노출평가 및 작업환경관리방안

연구책임자
박현희 외 6명
수 행 연 도
2019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배경

 최근 기내 살충소독제(델타메트린) 중독 재해 및 기내 청소제품의 구성성분 논란과 관련하여, 항공기 청소노동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반적인 작업환경유해도 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됨

 항공기 청소노동자들은 기내 청소작업에서 청소용 세제, 시트접착제 등 화학물질을 취급하고 있으며, 소음, 호흡성 분진, 초미세먼지, 디젤엔진배출물, 미생물 등 다양한 작업환경 유해요인에 노출되고 있으나 노출농도 수준에 대해서는 조사된 바가 없음

 이번 연구에서는 항공기 청소노동자에게 노출되는 유해인자의 노출평가를 실시하고 작업환경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2. 주요연구내용

- 연구결과

 국내 항공기 청소협력업체는 항공사 자회사를 통한 하도급형태로 운영되며, 20여개소, 3,000여명의 청소노동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됨. 청소노동자는 새벽 및 야간시간을 포함한 교대근무를 실시하며, 항공기 운항일정에 따라 식사 및 휴게시간 등이 불규칙한 특성이 있음

 항공기 청소작업에서 과거 사용한 것으로 조사된 화학제품은 약 42종이 있었으며, 주로 살균, 살충소독제, 좌석시트 접착제, 스티커, 껌 등 제거제, 얼룩제거제, 광택제, 좌석시트 드라이크리닝 세제 등이 있었고, 주요 유해물질로는 1-브로모프로판, 아세톤, 시클로헥산,테트라하이드로퓨란, 크실렌, 결정형유리규산, 에틸렌글리콜, 퍼클로로에틸렌, 에탄올아민 등이 있었음. 다만 연구기간동안 대부분의 화학제품은 사용이 금지되거나 유해성이 낮은 물질로 대체되었음

 항공기 기내 일반청소자가 노출되는 소음수준에 대해 개인별 누적소음노출량을 평가한 결과(OSHA 방법), 8시간 시간가중값으로는 80dB(A)를 초과하는 작업자는 없었음. 다만, 등가소음(ISO 방법, LAeq) 노출값으로는 진공청소 78.9±4.1 dB(A), 캐빈청소 76.8±2.9 dB(A), 시트교체작업 74.2±1.2 dB(A) 수준으로 80dB(A)에 근접하므로 유사노출그룹을 세분화한 지속적인 소음수준 관찰이 요구됨

 호흡성 분진에 대한 개인노출평가 결과, 진공청소작업에서 평균 98.2±103.4 /, 캐빈 일반 청소작업 56.3±42.0 /, 시트교체작업자 52.6±42.0 /수준이었음. 분진의 입경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 발생되는 분진의 90% 이상이 지름 1 이하의 미세입자로 구성되어 있었음

 초미세먼지(PM 2.5)를 평가한 결과, 항공기 내부 청소작업 중 평균은 4.83 ~ 9.89 /이었고, 버스 및 외부 대기공간에서는 28.5 ~ 44.5 /수준이었음. 대기환경기준의 관심단계인 50 /을 초과하는 경우가 측정일에 따라 전체 시료의 약 10 ~ 40% 수준이었음

 블랙카본에 대한 개인노출평가 결과, 2 ~ 7 /수준으로, 도로변 옥외에서 관찰되는 농도수준과 유사하였음. 공항 내 수화물 운송, 급유, 급수 등을 위해 운행하는 다양한 디젤차량의 배출물이 주요 오염원으로 확인되었고, 초미세먼지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음

 집중청소작업에 대한 살균·살충 소독제 5가지 성분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99), N-methylpyrrolidone(99), pyrethrum(41), Deltamethrin(13), Permethrin(30)의 평가결과,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로 평가되었음

 부유세균, 부유진균의 평가결과 4개 집중청소업체에서 각각 128건씩 측정되었고, 부유세균(환경부, 유지기준 800 CFU/m3)의 최고치는 291.1 CFU/m3, 부유진균(환경부, 권고기준 500 CFU/m3)의 최고치는 265.5 CFU/m3 였음

 

- 시사점

 항공기 청소작업자의 노출 유해인자 종류 및 농도수준은 도로변에서 작업하는 옥외작업자와 매우 유사하며, 옥외작업자 미세먼지, 폭염, 한랭 가이드에 따라 호흡보호구 지급, 휴식시간 배분 등 조치가 필요함

 초미세먼지 및 디젤엔진배출물(블랙카본)의 주요 오염원은 공항 내 디젤차량으로 공항 내 노후차량 교체, 배출가스 관리기준 강화 및 전기차 도입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항공기 청소노동자는 작업일정변동이 빈번하나, 항공기 출발을 위해 정해진 시간 내에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특성이 있어 움직이는 이동버스 내에서 업무배분, 대기 및 준비작업을 하여 안전상의 위험이 있었고, 미세먼지, 폭염, 한파, 우천 등 열악한 기상여건에 노출되고 있으므로, 공항 내 안정적인 대기공간의 마련이 필요함

 정상적인 작업환경 조건에서는 살균·살충 소독제 성분의 청소노동자 노출수준은 낮았으며, 과거 중독사고는 소독 후 적정 환기를 위한 출입제한시간에 대한 관리가 미흡하여 발생하였으므로 소독제 취급에 대한 안전가이드를 설정하고, 작업자는 가이드의 방법에 맞게 작업하도록 조치가 필요함

 여름철 야간 청소작업 시 에어컨이나 별도 차량(Air Condition Truck) 등을 활용하여 강제 환기하거나 비상구를 전부 개방하여 자연환기를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함

 

3. 연구활용방안

- 개선방안 또는 정책방안

 항공산업 종사자(지상조업 등)에 대한 전반적인 작업환경평가 및 건강영향조사가 요구되며, 공항을 운영하는 공항공사, 항공사 및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등 정부기관이 협동하여 항공산업 종사자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보건관리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음

 과거 기내 청소 시 사용하였던 좌석시트 접착제 및 드라이크리닝 세제 등에 함유된 발암성 및 생식독성 물질의 노출농도는 과거 작업환경측정 자료에 따르면 노출기준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노출 근로자에 대한 건강영향 추적관리가 요구됨

 

- 활용

 항공기 청소노동자 보건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현희

                      연세대학교 교수 김치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