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조사 소개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조사설계 실태조사 이미지

산업현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산업안전보건정책 및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3년마다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동방식, 위험요인, 안전보건조직 및 활동, 업무변화, 안전의식 등을 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유튜브 바로가기)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의 자세한 설명은 영상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입 배경

  • 사업장 내 조직은 복잡해지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재해 위험요인도 빠르고 복잡한 구조로 변화
    • 과거의 산업재해 예방활동이 위험 기구·기계나 화학물질 등으로 한정하여 집중관리 하였다면,
    • 최근에는 안전에 대한 인식 및 문화, 조직의 형태, 의사소통체계 등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활동 및 현황 등 전 범위로 확대되어 예방활동 이루어지는 추세
  •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업장의 환경에 맞춰진 산업안전보건 정책 수립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하고자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실시

조사 개요

  • 조사목적 : 본 조사는 전국에 있는 산재보험에 가입한 제조업, 7대 기타산업, 건설업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자(사업주)를 대상으로 사업장의 안전보건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
  • 조사항목 : 노사업장 기본현황/일반현황, 사업장 일반조직, 위험요소, 산업재해 발생현황, 안전보건관리 조직 현황, 산업안전보건 관련 투자, 안전보건 활동 및 수전, 근로자 참여 및 의사소통, 심리사회적 위험관리, 업무변화, 산업안전보건 정책 호응도 및 평가 등
  • 조사방법 : 조사원이 사업장 방문하여 태블릿PC를 활용한 면접조사 실시
  • 조사대상 : 전국 상시근로자수 50인 이상 사업장(건설업 포함)
  • 조사주기 : 3년
  • 조사규모 : 7,000개 사업장
    • 제조업 : 20인 이상 제조업 사업장 3,000개
    • 건설업 : 공사금액 50억 이상 건설현장 1,500개
    • 서비스업 : 20인 이상 서비스업* 사업장 2,500개
      * ①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②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③ 환경 정화 및 복원업 ④ 육상 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 ⑤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⑥ 우편 및 통신업 ⑦ 사업시설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⑧ 사업 지원 서비스업 ⑨ 기타 개인 서비스업
    • 응답대상자 : 안전보건담당자(현장소장) 혹은 노무, 총무, 관리부 등 안전보건 업무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자
    • 조사지역 : 전국 17개 시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법적근거 및 승인번호

  • 법적근거 :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는 통계청 국가승인 통계로「통계법」제18조(통계작성의 승인)에 의해 운영
  • 승인번호 : 제380004호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주요 현황

  •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는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산업안전보건 동향조사>라는 명칭으로 지난 2002년에 처음 실시되어 2002년~2005년에는 매년, 2006년 이후로는 매 3년마다 실시되는 정기조사로서 조사 수행
  • 2018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로 통계청 국가승인통계 지정
    ※ 원시자료 및 보고서는 국가승인통계로 승인된 2018년 이후 자료만 제공 가능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주요 조사항목 표
연도 조사내용
2002년 - 제1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1,500개, 비제조업 500개
2003년 - 제2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1,500개, 비제조업 500개, 건설업 500개
2004년 - 제3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1,500개, 건설업 500개
2005년 - 제4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1,500개, 건설업 500개
2006년 - 제5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2,500개, 건설업 1,000개
- 3년 주기로 조사 진행 변경
2009년 - 제6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2,500개, 건설업 1,000개
2012년 - 제7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3,000개, 서비스업 3,000개, 건설업 1,000개
2015년 - 제8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2,000개, 비제조업 2,000개, 건설업 1,000개
2018년 - 제9차 산업안전보건실태조사 진행(3년 주기, 국가승인통계지정)
- 제조업 2,000개, 서비스업 2,000개, 건설업 1,000개
2021년 - 제10차 산업안전보건실태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3,000개, 서비스업 2,500개, 건설업 1,500개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주요 조사내용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주요 조사항목 표
구분 내용
사업체 특성 - 현재 근로자 수(전체, 만 55세 이상, 외국인, 여성)
- 교대근무제도 활용 여부
- 교대근무 및 야간 근무자 비율
- 근무제도 시행 여부(제택/원격, 선택적 근로시간제, 탄력적 근로시간제)
- 노동조합 유무
안전보건 시스템 - 산업안전보건 업무 수행 전담 부서 현황
- 산업안전/보건 전담 직원 현황·안전보건관리자 선임 현황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현황
- 안전/보건관리전문기관 외부 위탁 여부·관리감독자 수
- KOSHA-MS/ISO 45001 인증 여부
유해위험 요인 - 유해위험 요소별 위험성 평가 여부
- 위험성 평가 주체, 근로자 참여 여부, 평가 노력 정도
- 위험성 평가를 하지 않은 이유·직무 스트레스 요인별 심각도, 관리노력 정도
사업체 안전보건 실태 및 활동 - 사업체의 안전보건 실태 및 활동 정도
- 산업안전보건 교육 및 훈련 실시 여부, 외부위탁 비율, 교육방법별 비율
- 일반건강진단/특수건강진단 실시 여부, 사후관리조치 대상자 유무, 조치 이행 여부 확인 정도
- 작업환경측정 실시 여부, 결과에 따른 조치 노력 정도
- 협력업체 현황, 협력업체 간 관계 정도
- 원청업체 현황, 원청업체 간 관계 정도
산업재해 발생 현황 - 요양기간별 산업재해 건 수
기타 - 안전보건 업무 중 어려운 점
- 안전보건 향상을 위해 도움 받고 싶은 전문서비스 영역
- 최근 3년간 산업안전보건 관련 고용노동부 감독 여부
- 고용노동부 감동의 재해 예방 도움 정도
- 최근 3년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정보제공 및 지원 수혜여부
- 산업안전보건공단 정보제공 및 지원의 재해 예방 도움 정도
- 중대재해처벌법 인지 정도, 실질적인 도움 정도
- 코로나-19로 인한 초과근무 발생 정도
- 기타 건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