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산업안전보건정책 및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3년마다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동방식, 위험요인, 안전보건조직 및 활동, 업무변화, 안전의식 등을 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연도 | 조사내용 |
---|---|
2002년 | - 제1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1,500개, 비제조업 500개 |
2003년 | - 제2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1,500개, 비제조업 500개, 건설업 500개 |
2004년 | - 제3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1,500개, 건설업 500개 |
2005년 | - 제4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1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1,500개, 건설업 500개 |
2006년 | - 제5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2,500개, 건설업 1,000개 - 3년 주기로 조사 진행 변경 |
2009년 | - 제6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2,500개, 건설업 1,000개 |
2012년 | - 제7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3,000개, 서비스업 3,000개, 건설업 1,000개 |
2015년 | - 제8차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2,000개, 비제조업 2,000개, 건설업 1,000개 |
2018년 | - 제9차 산업안전보건실태조사 진행(3년 주기, 국가승인통계지정) - 제조업 2,000개, 서비스업 2,000개, 건설업 1,000개 |
2021년 | - 제10차 산업안전보건실태조사 진행(3년 주기) - 제조업 3,000개, 서비스업 2,500개, 건설업 1,500개 |
구분 | 내용 |
---|---|
사업체 특성 |
- 현재 근로자 수(전체, 만 55세 이상, 외국인, 여성) - 교대근무제도 활용 여부 - 교대근무 및 야간 근무자 비율 - 근무제도 시행 여부(제택/원격, 선택적 근로시간제, 탄력적 근로시간제) - 노동조합 유무 |
안전보건 시스템 |
- 산업안전보건 업무 수행 전담 부서 현황 - 산업안전/보건 전담 직원 현황·안전보건관리자 선임 현황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현황 - 안전/보건관리전문기관 외부 위탁 여부·관리감독자 수 - KOSHA-MS/ISO 45001 인증 여부 |
유해위험 요인 |
- 유해위험 요소별 위험성 평가 여부 - 위험성 평가 주체, 근로자 참여 여부, 평가 노력 정도 - 위험성 평가를 하지 않은 이유·직무 스트레스 요인별 심각도, 관리노력 정도 |
사업체 안전보건 실태 및 활동 |
- 사업체의 안전보건 실태 및 활동 정도 - 산업안전보건 교육 및 훈련 실시 여부, 외부위탁 비율, 교육방법별 비율 - 일반건강진단/특수건강진단 실시 여부, 사후관리조치 대상자 유무, 조치 이행 여부 확인 정도 - 작업환경측정 실시 여부, 결과에 따른 조치 노력 정도 - 협력업체 현황, 협력업체 간 관계 정도 - 원청업체 현황, 원청업체 간 관계 정도 |
산업재해 발생 현황 |
- 요양기간별 산업재해 건 수 |
기타 |
- 안전보건 업무 중 어려운 점 - 안전보건 향상을 위해 도움 받고 싶은 전문서비스 영역 - 최근 3년간 산업안전보건 관련 고용노동부 감독 여부 - 고용노동부 감동의 재해 예방 도움 정도 - 최근 3년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정보제공 및 지원 수혜여부 - 산업안전보건공단 정보제공 및 지원의 재해 예방 도움 정도 - 중대재해처벌법 인지 정도, 실질적인 도움 정도 - 코로나-19로 인한 초과근무 발생 정도 - 기타 건의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