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근로자의 플라스틱가소제 노출과 건강영향

연구책임자
박정임 외 9명
수 행 연 도
2022년
핵 심 단 어
노출평가,작업환경,프탈레이트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대표적인 플라스틱가소제 성분인 프탈레이트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잘 알려져있다. 제품 및 어린이용품 등에 프탈레이트 사용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인 반면, 프탈레이트를 취급하는 근로자 노출관리는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은 4종의 프탈레이트(DMP, DEP, DBP, DEHP)노출기준을 5 ㎎/㎥로 설정하고 있지만, 작업환경측정 대상물질에 해당하지 않아 사업장 내 환경관리 및 근로자 노출관리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중 DEHP와 DBP는 생식독성물질에 해당하는데, 최근 DBP가 특별관리물질로 추가되었다. 2022년 ACGIH는 프탈레이트의 노출기준(TLV-TWA)을 기존 5 ㎎/㎥에서 남성생식독성을 근거로하여 0.1 ㎎/㎥ 로 대폭 강화할 것을 예고하였다. 이에 우리나라의 프탈레이트 취급 근로자의 노출실태와 관리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2. 주요 연구내용
1) 프탈레이트 규제현황 및 국내외 관련 연구 문헌조사
국내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프탈레이트 노출평가 관련 선행연구를 PRISMA protocol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였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수행한 우리나라 근로자의 생식독성 물질 관리 연구에 관한 연구보고서 10건을 고찰한 결과, CMR 물질관리의 일환으로 생식독성 물질관리의 체계와 관리수준을 제안하는 정책연구가 주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십여년 동안 열 건의 연구를 통하여 생식독성 물질의 관리, 특별한 관리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체계적인 유해성평가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생식독성물질의 노출평가 방법 개발과 노출 수준에 근거한 위험성평가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우리나라 프탈레이트 취급 사업장 및 근로자 현황 추정
2018년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 화학물질 종합정보시스템>의 <화학물질통계정보 공개>에 따르면 DMP. DEP, DBP, BBP, DEHP, DnOP, DiNP,DiDP, 총 8종의 프탈레이트를 취급하는 사업장은 총 1,338개소로 파악되었다. 세부 업종별로는 17개의 업종(기타제외)에서 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있었다.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에서 293개소로 가장 많았다. 취급하는 프탈레이트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50 % 이상(n=697)의 사업장에서 DEHP를 사용하였다.
3) 환경 중 농도 측정을 위한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정립
공기시료 채취는 프탈레이트 가스상 및 입자상을 동시에 채취할 수 있는 Tenax TA OVS (part no. 226-56, SKC Inc)를 사용하였다. 표면시료는 공기시료 채취 주변의 설비표면을 wipe하는 방식으로 채취하였다. 공기시료와 표면시료에서 프탈레이트를 분석하는 전처리방법으로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 초음파 추출법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속실렛 추출(soxhlet extraction), 고체상 미량 추출법 (solid-phasemicroextraction, SPME)을 검토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오염 가능성이 적고, 용매사용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검출한계와 정량한계가 우수한 고체상 미량추출법(SPME)을 Tenax OVS tube의 유리섬유 필터부분과 테낙스 흡착제 부분의 전처리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표면시료의 경우 거즈의 부피와 이소프로필알콜의 양 때문에 SPME를 적용할 수 없으므로, 초음파추출법을 적용하였다. 추출 후 시료는 GC-MS로 분석하였다.
4) 취급 사업장의 공기 중 농도와 표면 농도를 측정하여 취급 근로자의 노출가능성과 건강위험 추정
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75개의 공기시료와 100개의 표면시료를 채취하였다. 공기시료의 경우, DEHP에 대하여 ACGIH의 개정예고 노출기준인 0.1 ㎎/㎥을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 표면시료의 경우 DEHP의 농도가 사업장에 따라 불검출에서 최고 5,243 ng/㎠로 천차만별이었으나, 비교가능한 기준값이 없으므로, 상대적인 오염정도만을 평가하였다. 공기시료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호흡을 통한 인체노출량을 추정하고, 이를 RfD와 비교하여 HQ를 도출한 결과, 우려될만한 수준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사업장과 공정에서 호흡을 통한 DEHP 발암위해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 활용방안
공기시료 및 표면시료 중 프탈레이트 분석은 통상적으로 수행되어 온 시료들에 비하여 샘플링, 전처리 및 분석방법이 까다로운으로, 아직 기준으로 삼을 만한 방법이 여의치 않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은 작업환경 중 프탈레이트 시료분석법 개발의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양한 업종에서 측정분석한 작업환경 중 노출평가 및 인체노출량 추정결과는 비록 우리나라 근로자 노출수준의 대표값은 아니나, 우리나라 프탈레이트 취급 근로자의 건강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데에 활용될 수 있다. 향후 프탈레이트 취급 근로자의 JEM을 구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고, 생식독성 및 내분비계 건강영향 등을 포함하여 프탈레이트의 근로자 건강피해 예방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순천향대학교 교수 박정임
-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과장 김세동
? ☎ 052) 703-0893
? E-mail rlatpehd7@kosh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