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국내외 사업장의 이행실태 조사 및 현장작동성 제고 방안

연구책임자
박민수 외 8명
수 행 연 도
2022년
핵 심 단 어
강사역량,교육방법,민간교육기관,산업안전보건교육체계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o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대법’) 제정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졌을 뿐만 아니라, 산업재해 예방에 있어 교육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산업안전보건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많음
o 산업안전보건교육의 목적은 노동자가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유해·위험요인을 알고 유해·위험성을 인식함으로써 재해가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일을 하는 것으로, 교육의 명칭, 교육 시간, 형식, 방법, 법적 요구사항의 충족 등 형식적인 면보다는 궁극적인 교육의 목적
달성이 중요

2. 주요연구내용
o 안전보건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 교육과정별 맞춤형 교재개발 및 양질의 강사확보 필요
  - 민간안전보건교육기관의 운영 실태
  - 안전보건교육을 통해 7.1 ~ 35.5%의 산업재해 감소 효과 추정
  - 현장 안전보건교육 강화를 위해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한 지원 강화, 교육 기관별 역할에 대해 현행 정책 및 제도를 반영, 재정립 필요
o 국내·외 안전보건교육제도 비교 및 실태조사 분석
  - 영국·독일처럼 안전보건교육 이수 의무는 부여하되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사업장에서 자율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추진 필요
  - 획일적인 교육과정보다는 사업장 재해감소에 필요한 현장 적합형 과정 개설 및 단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한 전문화된 인력양성 필요
  - 다양한 교육과정 개설 및 타 교육기관과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한 교육과정 연계 운영 필요
  - (소규모 사업장 교육 실태) 관리자보다는 근로자에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평가했으나, 교육의 효과성은 관리자가 근로자보다 높게 평가되었음
  - (민간안전보건교육기관 운영 실태) 교육강사 부족, 교육방법·내용의 정형화 문제 대두, 인터넷 교육보다는 집체교육실시 선호
o 안전보건교육 현장작동성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 제시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유무 및 사업장 규모를 고려하여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자율성 부여, 세미나·토론회·컨설팅 강평 등에 대한 교육시간 인정 및 사업주를 강사기준에 추가하는 등 교육방법 다양화 및 기준완화 검토 필요
  - 업종별 관리감독자 핵심역량 관련 실무형 교육과정, 콘텐츠 개발, 안전보건관계자 이직 시의 보수교육 도입 등을 통한 교육 내실화
  - 민간교육기관의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해 교육원과 연계한 강사역량 강화, 직무교육 수수료 상향, 자율성 확대, 교육과정 중심의 기관 평가 추진
  - 안전보건교육시장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민간이양, 광역교육센터를 통한 민간교육기관 관리·지원, 안전보건교육 종합플랫폼 구축 등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인제대학교 박민수 교수
• 연구상대역: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안전보건정책연구실 최윤석
• 연락처: 052-703-0825
• e-mail: mrhunk@kosh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