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생애전환기 선별검사도구의 정신건강질환예방 활용 가능성 평가 연구

연구책임자
이경은 외 3명
수 행 연 도
2019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국내에서 수행된 직업관련 건강영향 연구는 제조업 중심의 유형적인 유해물질 노출에 대한 질병
평가가 대부분이며 사업장에서 근로자 정신건강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정신건강 질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태임
-근로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선별검사에 대한 도구가 표준화 및 일반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되고 있는 생애전환기 정신건강 간이검사와
상담에 따른 정신건강 질환의 예방효과에 대하여 근로자 집단을 중심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음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직장 가입 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의 정신건강 간이검사를 통한 질환 예방효과를 평가하여 근로자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선별도구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음

2. 주요 연구내용

연구결과

-정신건강 간이검사 결과 우울증위험 군으로 분류된 집단에서 9년 동안의 누적발생률은 4.58%로
가장 높았으며, 미수검자 집단이 2.59%, 정상집단이 2.32% 순이었음
-수검자 집단 전체의 9년 동안의 우울증/자해·자살로 인한 누적 발생률은 약 2.45%로 수검 여부에
따라서는 미수검자 집단에서의 발병률이 더 높았음

-정신건강 간이검사결과에서 우울증위험 군으로 분류된 집단의 우울증 입원에 대한 위험비는
남성 근로자에서 1.822(95% 신뢰구간 1.590-2.088), 여성 근로자에서는 2.073(95%신뢰구간
1.793-2.397)으로 정상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았음
-그러나 근로자집단에서 생애전환기 정신건강 간이검사의 특이도는 남성에서 98.0%, 여성에서
96.7%로 높았으나 민감도가 남녀집단에서 각각 9.2%, 13,4%로 선별도구로 활용하기에는
매우 낮았음

시사점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신건강 간이 검사 도구의 근로자 정신건강관리 활용성을 평가한 연구로 기존의 검사도구 및 설문항목을 이용하여 일반 근로자 집단에서 예방
관리 도구로써 활용도를 평가한 연구임
민감도가 낮아 우울증으로 인한 입원이나 사망 위험군을 선별하는 검사도구로 활용하기에는
적합성이 결여되는 것으로 평가 되나 특이도와 음성예측도가 높다는 면을 활용하여 건강 근로자
에서 예방적 선별관리는 어려울 지라도, 우울증 고위험 집단에 대한 자살 혹은 자해와 같은
의도적 손상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음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중부권 역학조사팀 이경은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