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사업소개

  • 사업소개
  • 산업보건
  • 계절별 기후변화 건강보호
  • 폭염 단계별 대응요령 및 예방조치
  • 온열질환 증상 및 응급조치

계절별 기후변화 건강보호

온열질환 증상 및 응급조치

  • 폭염 등으로 인한 온열질환은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이 대표적이며 주요 징후 및 증상, 응급조치 요령은 다음과 같다.
  • 온열질환 민감군 또는 작업강도가 높은 근로자 등은 휴식 제공 시 온열질환 관련 증상의 유무를 확인하여 조치한다.
  •  
    온열질환 증상 및 응급조치
    종류 온열질환 징후, 증상 응급조치 요령
    열사병
    (Heat stroke)
    • 고열(>40℃)
    • 건조하고 뜨거운 피부
      (땀이 나는 경우도 있음)
    • 의식을 잃을 수 있음
      (중추신경 이상)
    ※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음
    • 지체 없이 119 신고
    • 시원한 곳으로 옮겨 옷을 벗기거나 느슨하게 하고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나 선풍기 등으로 몸을 식힘
    • 얼음주머니가 있을 시 목, 겨드랑이 밑, 서혜부
      (대퇴부 밑, 가랑이 관절부)에 대어 체온을 낮춤
    ※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음료를 마시도록 하는 것은
        위험하니 절대 금지
    열탈진
    (Heat exhaus tion)
    • 땀을 많이 흘림(≤40℃)
    • 힘이 없고 극심한 피로
      (탈수 및 전해질 소실)
    • 창백함, 근육경련
    • 열원으로부터 벗어난 장소로 이동
    • 시원한 곳 또는 에어컨 있는 장소에서 휴식
    •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
    ※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에는 이온음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어 주의 필요
    • 증상이 1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 필요
    ※ 병원에서 수액을 통해 수분과 전해질 보충
    열경련
    (Heat cramp)
    • 근육경련
      (어깨, 팔, 다리, 복부, 손가락)
    • 작업 시 사용된 근육이 쑤시거나 아픔
    • 시원한 곳 또는 에어컨 있는 장소에서 휴식
    • 물을 섭취하여 수분을 보충
    ※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에는 이온음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나,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어 주의 필요
    • 경련이 일어난 근육을 마사지
    ※ 경련이 멈추었다고 해서 바로 다시 일을 시작하지
        말고 근육부위 마사지 및 충분한 휴식
    • 아래의 경우, 바로 응급실에 방문하여 진료
    ※ 1시간 넘게 경련 지속/기저질환이 심장질환인 경우/
        평상 시 저염분 식이요법을 한 경우
    열실신
    (Heat syncope)
    • 어지럼증
    •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음
      (뇌허혈 상태)
    • 시원한 장소의 평평한 곳에 눕힘
    ※ 다리를 머리보다 높은 곳에 둠
    • 의사소통이 가능할 경우, 물을 천천히 마시도록 함
    열부종
    (Heat edema)
    • 손, 발이나 발목이 부음 • 시원한 장소의 평평한 곳에 눕힘
    ※ 부종 발생 부위를 심장보다 높은 곳에 둠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