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E 평가표 다운로드
NIOSH에서는 1981년 들기작업에 대한 안전 작업지침을 발표하였다. 이 지침은 작업장에서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들기작업에 있어 안전작업무게(AL:Action Limit)와 최대허용무게(MPL:Maximum Permissible Limit)를 제시하여, 들기작업에서 위험 요인을 찾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대허용무게는 안전작업무게의 3배이며 들기작업을 할 때 요추(L5/S1) 디스크에 650㎏ 이상의 인간공학적 부하가 부과되는 작업물의 무게이다. 따라서 작업물의 무게가 이 한계를 넘는 들기작업은 작업자에게 매우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안전작업무게는 수평인자와 수직인자 그리고 거리인자, 빈도인자를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L5/S1 디스크에 350㎏의 생체 역학적 부하가 걸리고 이 무게까지는 대부분의 사람이 견디어 낼 수 있으나 이를 넘어가면 허리에 무리가 가해지게 된다. 이 작업지침에서는 AL과 MPL 사이의 작업에서는 관리적 기법(administrative approach)에 의한 작업 개선이 필요하며, MPL 이상의 작업에 대해서는 공학적 기법(engineering approach)에 의한 작업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하고 있다.
1981년에 발표된 들기작업 지침은 두 손의 대칭형 들기작업, 제한 조건이 없는(unrestricted) 들기자세, 좋은 커플링 상태, 쾌적한 주위환경 등의 제약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 조건은 실제 작업 현장과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이 높아져 1991년 개정된 새로운 들기작업 지침이 제안되었다.
1981년 NIOSH 가이드라인
미국의 NIOSH 가이드라인에서는 인력운반작업 특히 리프팅 작업 상황에서는 작업 대상물의 최대 무게를 산출하는것에 대한 안전기준을 개발하였다.
그런데 이 기준은 앞에서 언급한 4가지 방법(역학적, 생체역학적, 생리학적, 정신물리학적 방법)들 모두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상황을 기본 가정 (대칭 리프팅, 부드러운 동작, 비제한적인 자세, 잡기가 용이한 구조)으로 삼았다.NIOSH 기준은 1981년, 1991년 두 번에 걸쳐 안전 기준을 제시했는데 처음 발표한 1981년 기준에서는 두 단계의 안전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가. AL기준
첫단계는 AL(Action Limit)로서 허리의 L5/S1부위에서 압축력이 770lb(350㎏중) 정도 발생하는 상황을 표현하는 데 이 단계까지의 작업조건은 거의 모든 작업자가 별무리 없이 견뎌낼 수 있는 상황이라고 알려져 있다. AL의 기준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1) AL 조건 이상의 작업 상황에서는 근골격계통의 질환 발생율이 증가한다.
(2) AL 조건에서는 L5/S1부위에서 770lb(350㎏중)의 압축력이 발생한다.
(3) AL 조건 이하에서의 에너지 소비량은 분당 3.5Kcal를 넘지 않는다.
(4) 남자중 99%, 여자중 75%가 이 조건에서 무리 없이 인력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5) AL 기준을 산출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H(Cm):작업 대상물을 들어 올리는 지점에서 양 발목 사이의 중간지점과 작업대상물까지의 수평거리
V(Cm):바닥에서 작업대상물까지의 수직거리
D(Cm):작업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시작지점에서부터 목표 지점까지의 수직이동거리
F:분당 들어 올리는 횟수
Fmax:작업 시간 및 작업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제일 많이 들어올리는 횟수
나. MPL 기준
두번째 단계로는 MPL(Maximum Permissible Limit)로서 L5/S1부위에서 1430lb(약 650㎏중)의 압축력이 발생하는 조건으로서 모든 상황에서 넘어서는 안될 상황을 의미하는데 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MPL을 넘어가는 조건에 노출된 작업 상황에서는 근골격계통 부상율이 급격히 상승한다.
(2) MPL 기준을 가진 인력운반작업은 거의 모든 작업자들에게서 1430lb (약 650㎏중)의 압축력을 L5/Sl부위에서 발생시킨다.
(3) MPL 기준을 넘는 작업환경에서는 분당에너지소비가 5Kcal를 넘는다.
(4) 남자중 25%, 여자중 1%만이 이런 작업 상황에서 부상없이 견뎌낼 수 있다.
다. 인력운반작업 영역 구분 및 안전 대책
위의 두 기준을 이용하여 인력운반작업 상황을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작업상황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 지에 따라 그에 맞는 대책을 세우게 된다.
(1) 대상물의 무게가 AL 기준보다 더 적은 경우 이 조건은 모든 작업자들에게 극히 정상적인 작업 상황으로 개선 대책을 세울 필요가 없다.
(2) 대상물의 무게가 AL 기준보다 크고 MPL 기준보다 작은 경우 작업 상황이 이 영역에 해당된다면 우선 관리적인 개선대책을 생각해 볼수 있다. 여기서 관리적 개선이라 하면 작업순환, 인력운반작업에 대한 교육, 작업자 선발기준의 개발등을 의미한다.
(3) 대상물의 무게가 MPL 기준보다 큰 경우 이런 작업 조건이라면 거의 모든 작업자들에게 작업으로서 받아들여질 수가 없다. 이 경우에는 근본적인 대책 즉 공정개선, 자동화 등의 공학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1991년 개정된 NIOSH 들기작업 지침
가. 개정된 들기작업 공식(Revised lifting Equation)
(1) 목적
들기작업에 대한 권장무게한계(Recommended Weight Limit:RWL)를 쉽게 산출하도록 하여 작업의 위험성을 예측하여 인간공학적인 작업방법의 개선을 통해 작업자의 직업성 요통을 사전에 예방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용도
특정 작업에서의 권장무게한계를 제시하므로, 작업장에서 권장무게한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작업 위치를 바꾸거나, 작업 빈도를 줄여 주거나, 커플링을 좋게하는 등의 작업 설계의 변화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인간공학적 작업 설계를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식 자체가 간단하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 용어 정의
(1) 권장무게한계(RWL: Recommended Weight Limit)
권장 무게 한계란 건강한 작업자가 특정한 들기작업에서 실제 작업시간 동안 허리에 무리를 주지 않고 요통의 위험 없이 들 수 있는 무게의 한계를 말한다. RWL은 여러 작업 변수들에 의해 결정된다.
(2) 들기 지수(LI: Lifting Index)
LI는 실제 작업물의 무게와 RWL의 비(ratio)이며 특정 작업에서의 육체적 스트레스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낸다. 즉 LI가 1.0보다 크면 작업 부하가 권장치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3) 작업 변수와 용어 정의
개정된 들기작업 공식에서 사용되는 작업 변수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으며, 각 변수들은 그림 1-1에서 볼 수 있다.
들기작업(lifting Task)들기작업이란 특정 물건을 두 손으로 잡고 기계의 도움 없이 들어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뜻한다.
무게 (L:Load Weight):작업물의 무게(㎏)
수평위치(H:Horizontal Location):두 발 뒷굼치 뼈의 중점에서 손까지의 거리(㎝)이며, 들기작업의 시작점과 종점의 두 군데에서 측정한다.
수직거리(V:Vertical Location):바닥에서 손까지의 거리(㎝)로 들기작업의 시작점과 종점의 두 군데에서 측정한다.
수직이동거리(D:Vertical Travel Distance)들기작업에서 수직으로 이동한 거리(㎝)이다.
비대칭 각도(A:Asymmetry Angle):정면에서 비틀린 정도를 나타내는 각도이며, 들기작업의 시작점과 종점의 두 군데에서 측정한다.
들기 빈도(F:lifting Frequency):15분 동안의 평균적인 분당 들어올리는 횟수(회/분)이다.
커플링 분류(C:Coupling Classification):커플링이란 드는 물체와 손과의 연결 상태를 말한다. 즉 물체를 들 때 미끄러지거나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는 손잡이 등의 상태를 말한다. 커플링의 분류는 좋다(Good), 괜찮다(Fair), 나쁘다(Poor)의 3등급으로 나뉜다.
다. 개정된 들기작업 공식의 각 항
들기작업 공식은 다음과 같으며 각 항을 구하는 법을 정리하면 표 1-1과 같다.
- 수직거리 및 수평거리 -
-
계수정리
-
계수 > 계수방법 > 계수 구하는 법
-
HM > 수평 계수(Horizontal Multiplier) > 25/Hº
-
VM > 수직 계수(Vertical Multiplier) > 1-(0.003 V-75)
-
DM > 거리 계수(Distance Multiplier) > 0.82+(4.5/D)
-
AM > 비대칭 계수(Asymmetric Multiplier) > 1-(0.032A)
-
FM > 빈도 계수(Frequency Multiplier) > 표 1-3 참조
-
CM > 커플링 계수(Coupling Multiplier) > 표 1-4 참조
- 표 1-1. 계수 정리 -
처음의 23㎏이라는 숫자는 최적의 환경에서 들기작업을 할 때의 최대 허용무게이다. 여기서 최적의 환경이란 허리의 비틀림 없이 정면에서 들기작업을 가끔씩 할 때(F > 0.2), 작업물이 작업자 몸 가까이 있으며 수평거리(H)는 15㎝, 수직위치(V)는 75㎝, 작업자가 물체를 옮기는 거리의 수직이동거리(D)가 25㎝ 이하이며 커플링이 좋은 상태이다. 그리고 나머지 계수들은 모두 1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하여 각 요인이 권장 무게 한계 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1) 수평 계수(Horizontal Multiplier)
수평 계수는 수평거리(H)를 권장무게한계에 고려하기 위한 계수로 HM=25㎝/H로 나타내며 25㎝보다 작을 경우는 1이다. 또한 63㎝를 초과할 경우 HM은 0이 된다. 여기에서 25㎝(10인치)는 작업자가 물체를 몸에 가장 가깝게 할 수 있는 최소 수평거리이고 63㎝(25인치)는 체구가 작은 사람이 물체를 최대한 멀리 잡고 들 수 있는 수평거리를 기준으로 하였다.
(2) 수직 계수(Vertical Multiplier)
수직 계수는 작업자와 물체 사이의 수직거리(V)를 권장 무게 한계에 고려하기 위한 계수로 VM=1-(0.003ㅣV-75ㅣ)로 나타낸다. 역학적인 분석에 의하면 들기작업을 하는 동안 요추에 걸리는 스트레스는 물체를 바닥에서 들 때 증가하는 것이며 바닥에 있는 물체를 들 때 요통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V가 적으면 그 만큼 무게를 줄여 주어야 한다. 75㎝ 이상인 높이에서 물건을 들기 시작할 때에는 다시 심물리적 부하(Psychophysical Stress)가 감소하기 때문에 75㎝를 기준값으로 정했다. 그리고 수직 거리가 175㎝를 초과할 경우에는 VM이 0이 된다.
(3) 거리 계수(Distance Multiplier)
거리 계수는 물체를 이동시킨 수직거리(D)를 권장무게한계에 고려하기 위한 계수로서 DM = 0.82 + (4.5/D)로 나타내고, 25㎝보다 작을 때는 1이고 175㎝보다 클 경우는 0이다.
(4) 비대칭 계수(Asymmetric Multiplier)
비대칭 계수는 1981년 NIOSH 공식에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요소이다. 이전의 공식에서는 정중면에서 대칭적인 들기작업에 대한 평가만을 할 수 있었으며, 비대칭적으로 일어나는 들기작업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었다. 그러나 개정된 공식에서는 권장무게한계에 비대칭 계수를 고려하였다. AM = 1 - 0.0032A로 표현되며 여기서 A는 정중면과 비대칭 평면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135도가 넘을 경우는 AM이 0이다. 이렇게 구한 수평 계수, 수직 계수, 거리 계수, 비대칭 계수 등 4개의 계수를 각 작업 변수 값에 대하여 계산한 것이 표 1-2이다.
(5) 빈도 계수(Frequency Multiplier)
빈도 계수는 수학적인 식을 사용하지 않고, 표 1-3과 같이 분당 물체를 드는 횟수에 따라 값을 주었다.
-
HM, VM, DM, AM 계수
-
H(cm), HM
-
25보다 작을때, 1.00
-
28, 0.89
-
30, 0.83
-
32, 0.78
-
34, 0.74
-
36, 0.69
-
38, 0.66
-
40, 0.63
-
42, 0.60
-
44, 0.57
-
46, 0.54
-
48, 0.52
-
50, 0.50
-
52, 0.48
-
54, 0.46
-
56, 0.45
-
58, 0.43
-
60, 0.42
-
63, 0.40
-
63보다 작을때, 0.00
-
V(cm), VM
-
0, 0.78
-
10, 0.81
-
20, 0.84
-
30, 0.87
-
40, 0.90
-
50, 093.
-
60, 096.
-
70, 099.
-
80, 099.
-
90, 096.
-
100, 0.93
-
110, 0.90
-
120, 0.87
-
130, 0.84
-
140, 0.81
-
150, 0.78
-
160, 0.75
-
170, 0.72
-
175, 0.70
-
>175, 0.00
-
D(cm), DM
-
25보다 작을때, 1.00
-
40, 0.93
-
55, 0.93
-
70, 0.88
-
85, 0.87
-
100, 0.87
-
115, 0.86
-
130, 0.86
-
145, 0.85
-
160, 0.85
-
175, 0.85
-
175보다 작을때, 0.00
-
A(cm), AM
-
0, 1.00
-
15, 0.95
-
30, 0.901
-
45, 0.86
-
60, 0.81
-
75, 0.76
-
90, 0.71
-
105, 0.66
-
120, 0.62
-
135, 0.57
-
135보다 작을때, 0.00
- 표 1-2. HM, VM, DM, AM 계수 -
(6) 커플링 계수(Coupling Multiplier)
커플링 계수는 비대칭 계수와 마찬가지로 1981년에 만들어진 방정식에서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요소이다. 커플링은 물체를 들 때에 미끄러지거나 떨어뜨리지 않도록 손잡이 등이 좋은지를 권장 무게 한계에 반영한 것이다. 물체가 다소 가볍더라도 손잡이가 없어서 자꾸 미끄러진다거나 드는 물체가 부정형이라서 손으로 들기 불편한 경우에는 커플링 계수가 1보다 작게 되어서 권장 무게 한계도 작아지게 된다. 커플링은 크게 ´좋다´, ´괜찮다´, ´나쁘다´ 3가지로 구분된다.
① 좋 다:손잡이가 들기 적당하게 위치한 경우, 손잡이는 없지만, 들기 쉽고 편하게 들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할 경우
② 괜찮다:손잡이나 잡을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며 적당하게 위치하지는 않았지만, 손목의 각도를 90도 정도 유지할 수 있을 경우
③ 나쁘다:손잡이나 잡을 수 있는 부분이 없거나 불편한 경우, 끝 부분이 날카로운 경우
이러한 각 경우에 대한 커플링 계수는 표 1-4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다.
-
빈도 계수
-
빈도수(회/분) > 작업시간 : 1시간이하(V가 보다 작을때75, V가 보다 클때75), 2시간이하(V가 보다 작을때75, V V가 보다 클때75), 8시간 이하(V가 보다 작을때75, V V가 보다 클때75)
-
0.2 > 1.00 > 1.00 > 0.95 > 0.95 > 0.85 > 0.85
-
0.5 > 0.97 > 0.97 > 0.92 > 0.92 > 0.81 > 0.81
-
1 > 0.94 > 0.94 > 0.88 > 0.88 > 0.75 > 0.75
-
2 > 0.91 > 0.91 > 0.84 > 0.84 > 0.65 > 0.65
-
3 > 0.88 > 0.88 > 0.79 > 0.79 > 0.55 > 0.55
-
4 > 0.84 > 0.84 > 0.72 > 0.72 > 0.45 > 0.45
-
5 > 0.80 > 0.80 > 0.60 > 0.60 > 0.35 > 0.35
-
6 > 0.75 > 0.75 > 0.50 > 0.50 > 0.27 > 0.27
-
7 > 0.70 > 0.70 > 0.42 > 0.42 > 0.22 > 0.22
-
8 > 0.60 > 0.60 > 0.35 > 0.35 > 0.18 > 0.18
-
9 > 0.52 > 0.52 > 0.30 > 0.30 > 0.15 > 0.15
-
10 > 0.45 > 0.45 > 0.26 > 0.26 > 0.13 > 0.13
-
11 > 0.41 > 0.41 > 0.00 > 0.23 > 0.00 > 0.00
-
12 > 0.37 > 0.37 > 0.00 > 0.21 > 0.00 > 0.00
-
13 > 0.00 > 0.34 > 0.00 > 0.00 > 0.00 > 0.00
-
14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15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15이상 > 0.00 >0.00> 0.00 > 0.00 > 0.00 > 0.00
- 표 1-3. 빈도 계수 -
-
커플링 계수
-
커플링 상태, 수직거리(V): 75cm 미만, 75cm 이상
-
좋다, 1.00, 1.00
-
괜찮다, 0.95, 1.00
-
나쁘다, 0.90, 0.90
- 표 1-4. 커플링 계수 -
라. 들기작업 분석 절차
(1) 전 절에서 설명된 들기작업 공식을 이용하여 작업장에서의 들기작업에 대한 작업분석은 작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작업특성으로는 작업의 복잡성, 작업의 종점에서의 미세 조절 여부 등이 있다.
(가) 작업의 복잡성
작업이 단순 들기작업(single-task manual lifting job)인지, 복합 들기작업(multi-task manual lifting job)인지에 따라 분석 절차가 달라진다. 단순 들기작업은 들기작업 수행시 매번 작업변수에 큰 차이가 없다든지, 여러 작업 중 한 작업에 대해서만 (가령 가장 힘든 작업) 대표로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복합 들기작업은 여러 작업의 작업변수가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이며, 이 때는 각 작업마다 분석을 각각 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단순 들기작업보다 분석절차가 복잡해진다. 복합 들기작업의 예로는 컨베이어 벨트에서 완성품 상자를 내려 팔레트에 쌓는 작업의 경우에 들기작업의 시작점은 매번 같지만, 종점의 높이는 상자가 쌓이는 단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자를 5단까지 쌓을 경우 이 작업은 5개의 단순 들기작업으로 이루어진 복합 들기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복합 들기작업의 경우에는 작업부하를 나타내는 지표로 전 절에서 제시한 LI(들기지수)를 사용하지 않고, 복합들기지수(Composite lifting lndex, CLI)를 이용한다. CLI는 전체 작업을 구성하고 있는 각 들기작업들 중 최대 단위작업 들기지수(Single Task lifting Index, STLI)와 나머지 작업들이 순차적으로 추가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CLI의 증가분의 합으로 계산되어진다. CLI의 증가분은 누적빈도수를 적용했을 때 추가 작업의 LI와 실제 그 작업의 빈도수를 적용했을 때 LI의 차이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A, B 두 작업이 각각 1회/분의 빈도수로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CLI는 다음과 같다.
LIA,1:작업 A의 LI, 빈도수 1회/분
LIB,2:작업 B의 LI, 누적빈도수 2회/분(A의 빈도수 + B의 빈도수)
LIB,1:작업 B의 LI, 빈도수 1회/분
LIB,2 - LIB,1:작업 B의 추가로 인한 CLI의 증가분
만약 작업 A, B가 같은 작업이라면 LIA,1 = LIB,1이므로, CLI = LIB,2가 되어 원래 빈도수 2회/분의 단순들기작업의 LI와 같아진다. 그러나, 작업 A, B가 서로 다른 작업이라면, CLI는 A작업의 STLI에 B작업의 추가로 인한 CLI의 증가분을 더한 값이 되는 것이다.
복합 들기작업에 대한 분석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현장 작업장에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복합 들기작업 분석은 전체 작업을 구성하고 있는 각기 하위 들기작업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거나, 작업개선을 위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장 힘든 들기작업을 대상으로 단순 들기작업 분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나) 작업의 미세 조절(significant control) 여부
들기작업시 작업물이나 작업장의 특성에 따라 작업물을 종점에 내려놓을 때 작업물에 대한 조절을 신경써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깨지기 쉬운 무거운 작업물을 대상으로 하는 작업의 경우, 혹은 작업장이 좁아 작업물을 놓는 위치가 매우 제한적인 작업의 경우 등에는 작업자가 작업물을 내려놓을 때 작업물의 속도를 늦추기 위해 위쪽으로 힘을 주어 내려놓아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작업부하가 커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권장무게한계를 시점과 종점에서 각각 계산하여, 이중 작은 값을 그 작업의 권장무게한계로 이용한다.
미세 조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종점 가까이에서 작업물을 다시 잡으며(re-grasp), 작업자가 종점에서 순간적으로 작업물을 들고 있으며(hold), 작업자가 작업물을 종점의 정해진 위치에 놓기 위해 조절하여야 한다(position).
미세 조절 여부에 따른 분석은 단순 들기작업과 복합 들기작업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복합 들기작업의 경우에는 CLI 계산에서 하위 들기작업 중 미세조절이 있는 경우에 시작점과 종점의 LI중 큰 값을 이용한다. 한편, 미세 조절의 유무에 대한 판단이 어려운 경우에는 들기작업의 시작점과 종점의 수평거리, 수직거리, 비틀림 각도 등의 자료를 모두 조사한 후, 시작점과 종점의 LI중 큰 값을 이용하면 된다. 표 1-5는 작업의 복잡성과 미세조절 여부에 따라 들기작업 분석에 이용되는 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2) 들기작업 분석 절차
분석절차는 크게 자료수집단계와 분석단계로 나뉘며, 분석단계에서 단순 들기작업과 복합 들기작업의 분석은 달리 한다. 그림 1-2은 분석절차를 도식화한 이다.
-
작업 특성에 따른 들기작업 분석에 이용되는 지수
-
사업주:인터넷 신청
-
작업의 단순성
-
단순 들기작업
-
복합 들기작업
-
작업의 미세조절요부
-
유 : 최대 들기지수(max(LI시점, LI총점)), 최대 혼합 들기지수(CLI from Max(LI시점, LI종점))
-
무 : 들기지수(LI), 복합 들기지수(CLI)
- 표 1-5. 작업 특성에 따른 들기작업 분석에 이용되는 지수 -
-
NIOSH 들기작업지침에 의한 분석 절차
-
자료수집
-
작업물 하중(평균, 최대)
-
수직거리(시작점, 총점)
-
비틀림(시작점, 종점)
-
지속시간
-
수평거리(시작점, 총점)
-
수직이동거리
-
빈도수
-
커플링
-
단순, 복합?
-
단순들기작업 > 미세조절?
-
YES : LI = Max(LI 시작점, LI종점)
-
NO : LI = LI 시작점
-
복합들기작업 > FIRWL, WTRWL > FILI, STLI > 미세조절?
-
YES : CLI from Max(LI 시작점, LI종점)
-
NO : CLI = LI 시작점
- 그림 1-2. NIOSH 들기작업지침에 의한 분석 절차 -
(가) 자료 수집 단계
분석하고자 하는 작업의 주요 작업변수들을 측정하여 작업분석표에 기록한다. 작업분석표는 단순 들기작업용 작업분석표와 복합 들기작업용 작업분석표가 있다. 복합 들기작업인 경우에는 각 하위 들기작업별로 작업변수를 측정하여 작업분석표에 기록한다. 이를 위해 측정해야 할 자료로는
① 작업물의 하중(평균 하중, 최대 하중)
② 손의 수평 거리, 수직 거리(시점, 종점)
③ 비틀림 각도(시점, 종점)
④ 빈도수(회/분)
⑤ 작업 지속 시간(시간)
⑥ 커플링 등이 있다.
(나) 분석 단계(단순 들기작업)
① 전 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작업변수들에 해당하는 계수들(HM, VM, DM, AM, CM, FM)을 결정한다. 결정된 계수들을 작업분석표에 기록하고, 각 계수들을 곱해서 권장무게한계(RWL)를 계산한다. 작업물의 무게 평균을 RWL로 나누어 LI를 구한다.
② 종점에서 미세 조절이 없는 경우:시작점에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RWL과 LI를 계산한다.
③ 종점에서 미세 조절이 있는 경우:시작점과 종점에서 각각 RWL, LI를 구한다. LI시작점, LI종점 중 큰 값을 해당 작업의 LI로 한다.
(다) 분석 단계(복합 들기작업)
① 각 하위작업들에 대해 작업변수들에 해당하는 계수들(HM, VM, DM, AM, CM, FM)을 결정하여 작업분석표에 기록한다.
② 빈도수를 고려하지 않은 권장무게한계(Frequency-Independent Recommended Weight Limit:FIRWL):권장무게한계(RWL)의 계산식에서 빈도수 계수를 제외한 나머지 계수들의 곱이다. 즉, 빈도수 계수 FM을 1로 가정한 것이다.
③ 단위 작업 권장하중한계(Single-Task Recommended Weight Limit:STRWL):각 하위작업들을 개별 들기작업으로 가정하고, RWL 계산식을 적용해 구한 값이다.
④ 빈도수를 고려하지 않은 들기지수(Frequency-Independent lifting Index:FILI):L / FIRWL. 이때 L은 최대 작업물 하중이다.
⑤ 단위작업 들기지수(Single-Task lifting Index:STLI):L/STRWL. 이때 L은 평균 작업물 무게이다.
⑥ 새로운 작업번호 부여(New Task No.):계산된 STLI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값을 1로 해서 STLI의 크기 순으로 번호를 부여한다.
⑦ 종점에서 미세조절이 있는 경우에는 시작점과 종점에 대해 위의 값들을 모두 구한 후, 새로운 작업번호 부여시에 두 STLI 중 큰 값에 번호를 부여하고, 작은 경우에는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
⑧ 복합 들기지수(Composite lifting Index:CLI)
FM1,2, FM1,2,3, FM1,2,...,n-1:새로 부여된 번호에 의한 누적빈도수 계수, 즉 FM1,2,3의 경우 1, 2, 3번 작업의 빈도수를 합한 것에 대한 빈도수 계수 F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