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국외정보
  • 국제동향

국외정보

게시판 상세페이지
'댐안전성 외국사례' 이탈리아 63년 석회암층 댐붕괴 2005.02.03
작성자 : 관리자
  제  목 : '댐안전성 외국사례' 이탈리아 63년 석회암층 댐붕괴
  일  자 : 1999년 03월
  제공처 : 한국일보사(99/03/20)

    미국 등 선진국들은 대규모 다목점댐 건설에 따른 지반침하와 기상이변 등
  부정적 영향때문에 이미 건설한 댐을 철거하는 사례도 있다.

    석회암층에 건설된 댐이 얼마나 위험한지는 이탈리아 바이온트댐 참사가 잘
  말해준다. 63년 이탈리아의 피아페계곡에서 지반활동으로 석회암층이 붕괴하면서
  암반 2억4,000만톤이 댐 저수지로 무너져내렸다. 이때문에 저수지 물이 넘치면서
  하류의 마을을 덮쳐 2,600명이 사망했다.

    미국 와이오밍주의 터튼댐은 환경단체의 반대와 법정소송에도 불구하고 건설을
  강행했으나 석회암 천연동굴이 많았던 이 지역 특성을 무시한 결과 76년 완공
  직전에 붕괴, 4,000여가구가 피해를 입었다. 1926년 불안정한 지층구조를 무시한
  채 건설됐던 미국의 샌프란시스댐 붕괴사고는 420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 댐은 미세한 흙과 돌부스러기 등이 섞인 역암과 두꺼운 퇴적층에 세워졌으나
  댐 측면의 운무편암층이 쪼개지면서 붕괴사고로 연결됐다. 환경운동연합 김혜정
  (金惠貞)환경조사국장은 『라이프지의 조사에 따르면 20세기 들어 전세계적으로
  200군데 댐이 붕괴해 8,000여명이 사망했다』고 말했다.

    미국 콜로라도강 글렌캐니언댐은 현재 철거논란이 한창이다.『댐은 영원하지
  않다』는 환경운동가들의 주장에 대해 연방 하원 자원위원회는 97년 9월 댐 철거가
  법률적으로 하자가 없다는 것을 인정한 상태다.

    세계은행은 90년 이후 댐건설 차관 제공을 중지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의 산시아(三峽)댐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자금지원 요청을 거절했다.

    대관령환경연구회 이상영박사는 『결국 물막이 댐사업이란 총체적으로 손해라는
  것이 최근의 일반적 학설인데도 정부는 경제적 효과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