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국외정보
  • 국제동향

국외정보

게시판 상세페이지
미국 노동통계국(BLS), 2005년 직업성 상해 및 질병 발생현황 발표 2006.12.06
작성자 : 관리자

미국 노동통계국(BLS), 2005년 직업성 상해 및 질병 발생현황 발표

<10월 19일자 미국 BLS 보도자료>

 미국 노동통계국(BLS)에서는 2005년 발생한 직업성 상해 및 질병현황 조사결과를 웹 사이트를 통해 발표하고 지속적인 산업재해예방 활동을 통해 꾸준히 재해가 감소하고 있다고 밝힘

 

  ? 노동부 공식 발표 내용

   - 2005년에 민간부문에서 발생한 직업성 상해 및 질병의 비율이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2005년의 직업성 상해 및 질병 발생현황은 전 기간에 걸쳐 상당히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노동부의 안전보건전략이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줌

    ㆍ규정준수를 위한 사업주 및 근로자에 대한 지원활동 강화

    ㆍ정부와 노동계와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각종 협력 실시

    ㆍ직업성 상해 및 질병 취약 분야에 대한 강력하고 집중적인 규제활동 추진 등

   - 2005년에는 잠정적으로 5,702명의 근로자가 산업재해로 사망하였으며, 이는 2004년의 5,764명에 비해 약 1% 감소한 것임

  ? 2005 업무상 사망에 대한 인구조사(CFOI) 주요내용

   - 추락재해로 인한 근로자의 사망건수가 7% 감소한 767건을 기록함

   - 민간부문 건설현장의 근로자 사망건수는 전 업종에 걸쳐서 가장 높은 수치인 1,186건을 기록함

   - 농업분야 근로자 사망건수는 23%가 증가한 178건을 기록함

   - 20세 미만 근로자 사망은 2004년에 비해 18% 증가한 166건을 기록함

   - 여성 근로자 사망건수는 3% 감소한 402건을 기록함

   - 히스패닉계 근로자 사망건수는 2% 증가한 917건을 기록함

 ? 2005년 작업관련 상해 및 질병의 주요 경향

   - 2005년에 발생한 작업관련 상해는 약 400만 건이며, 질병은 약 24만 건을 기록함

   - 400만 건의 작업관련 상해 중 68%인 270만 건은 민간 서비스 분야(전체 민간분야 근로자의 약 79% 차지)에서 발생함

 ? 2005년 산재 사망근로자의 주요 특성

   - 근로 형태별로는 일반 급여근로자 4,568명(80%)이 사망하였고, 자영업자는 1,134명(20%)이 사망함

   - 나이별로는 20세 미만 근로자 116명(3%), 20~54세 근로자 4,030명(71%), 55세 이상 근로자 1,599명(26%)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됨

   - 성별로는 남성 근로자 5,300명(93%), 여성 근로자 402명(7%)이 사망함

   ※ BLS : Bureau of Labor Statistics

   ※ CFOI :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출처> http://www.bls.gov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