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국내 재해사례
  • 제조업

재해사례

게시판 상세페이지
호이스트 케이지에 탑승하여 이동중 추락 2004.06.14
작성자 : 관리자
     제목 : 호이스트 케이지에 탑승하여 이동중 추락
     업종 : 건설업
   기인물 : 호이스트
 피해정도 : 중상 3명, 경상 5명
 재해유형 : 추락
     날짜 : 1991년 05월


  1. 재해발생경위

       1991.5.14. 15:30경 택지개발 지구내 아파트건설현장에서 방수공과
     설비공인 재해자 8명이 간식을 먹기위해 호이스트(인화물 공용 건설용
      리프트)를 타고 12층에서 1층으로 내려오던중 호이스트 케이지와 함께
     추락하여 발생하였다.

       이 재해는 호이스트 케이지가 6층부근에 이르렀을때 호이스트
     케이지의 천정부위에 설치되어 있던 구동용 모터의 고정볼트가
     절단됨에 따라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있던 랙기어가 이탈되어 호이스트
     케이지가 급강하하였다. 그러자 호이스트 조작자는 누르고 있던 하강
     스위치에서 즉시 손을 떼었지만 안전장치인 급강하방지장치(Governor)가
     고장이나 작동되지 않고 호이스트 케이지가 계속 낙하하였다.

       그 결과 지면에 설치되어 있던 완충스프링장치 의하여 충격은 다소
     완화되었지만 그 충격으로 인하여 호이스트 케이지에 타고 있던
     근로자들이 중경상을 입었다.

     주)완충 스프링 장치 - 케이지가 멈추지 않고 계속 하강될 경우
                           바닥과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장치

  2.  F.T도
                                  ┌────────┐
                                  │호이스트의 낙하 │
                                  └────┬───┘
                        ┌─────────┴────────┐
                        │                                    │
      ┌────────┴────────┐      ┌─────┴────┐
      │기어와 피니언기어의 맞물림부분고장│      │ 낙하방지장치의 고장│
      └──────┬──────────┘      └────┬─────┘
          ┌────┴────┐                ┌─────┴────┐
          │                  │                │                    │
┌────┴───┐┌────┴───┐┌───┴────┐┌────┴───┐
│랙기어와 피니언 ││랙기어에서피니언││낙하방지장치의  ││비상스위치의배선│
│기어가 미끄러짐 ││기어가 이탈     ││내부스프링파손  ││이접속되지 않음 │
└─────┬──┘└───────┬┘└────────┘└────────┘
            │                      │
      ┌──┴──┐          ┌──┴──┐
      │          │          │          │
┌──┴─┐┌──┴─┐┌──┴─┐┌──┴─┐
│ 기어의 ││ 기어의 ││모터의장││ 가이드 │
│ 톱니가 ││ 톱니가 ││착용볼트││ 로올러 │
│ 마모됨 ││ 부러짐 ││가절손됨││ 가파손 │
└────┘└────┘└─┬──┘└────┘
                            │
                  ┌────┴───────┐
                  │ 탑승자가 한쪽으로      │
                  │ 치우쳐 편심하중이 작용 │
                  └────────────┘

  3. 재해발생원인

    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사이에 틈이 발생
        모터와 피니언기어의 장착용 볼트의 일부절손과 심한 마모로
        인하여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틈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동시에
        호이스트 케이지의 급제동시 충격으로 인하여 나머지 볼트가
        절단되어 모터가 프레임에서 이탈하였다.

       1) 호이스트의 케이지(Cage) 문은 2개이나 랙기어 반대쪽의 케이지
          문은 고장난 상태로 방치되어 사용치 못하고 랙기어 방향쪽의
          케이지문만 사용하였다. 그래서 모타와 하중 및 탑승자의 하중이
          한쪽으로만 치우치는 편하중이 작용하였다.
       2) 모터에 걸리는 무게를 지지해 줄수 있는 벤딩바(Bending Bar)의
          미설치로 호이스트카의 상승시 중력 및 모타의 자중으로 인한
          처짐이 발생하였다.

    나. 랙기어의 설치상태가 불량
        랙기어의 설치시 피니언기어와 수직이 되게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설치상태가 불량함에 따라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맞물림이
        일정하지 않아서 유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케이지의 유동을
        잡아주는 가이드 로울러는 본체레일과의 유격이 심하여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다. 급강하방지장치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
        급강하방지장치는 거버너(Governor)식으로 옳바르게 설치되어
        있었으나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용 스프링이 변형 또는
        파손 되어 있었으며 또한 비상정지 스위치의 배선이 접속되지 않아
        케이지의 급강하시 작동되지 않았다.

        주)급강하 방지장치(Over speed brake system)
           원심력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기계적 혹은 전기적 이상으로
           과속이 생길경우 자동으로 기계를 정지시키면서 전원을 차단시켜
           완전히 멈추게 하는 장치

    라. 설치전 검사를 미실시
        호이스트를 현장에 설치하기전에 자체검사를 통한 설비의
        결함유무 및 안전장치등의 결함유무를 파악하지 않았다.

    마. 비상정지 스위치와 작동스위치의 구분이 어려움
        비상정지 스위치는 일반작동스위치와 같은 크기였고 색깔도 같아
        비상시에 근로자가 쉽게 조작할 수 없었다.

  4. 동종재해예방대책

    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는 수직이 되도록 설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수직이 되도록 밀착시켜 각 기어의
        맞물림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나. 비상스위치는 구분이 쉽도록 설치
        비상스위치는 구분하기 쉽도록 색깔을 적색으로 하고 크기는
        기존의 스위치보다 2-3배 크게 제작하여 돌출되게 설치한다.

    다. 내부배선은 견고하게 연결
        비상정지 장치내의 스프링을 교체하고 비상스위치의 내부배선을
        견고하게 연결하여 급강하시(39.8m/min 이상)에는 자동으로 작동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라. 안전사용수칙을 부착
        호이스트 케이지 내부에 호이스트의 안전사용수칙을 부착하여
        조작자가 항상 숙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마. 자체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
        위험기계에 대한 자체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작업시작전에는
        기어 및 케이지 내부의 안전상의 기능상태, 볼트의 풀림상태등의
        안전점검을 필히 실시하도록 한다.

    바. 좌우측 문을 동시에 사용
        고장난 케이지 문의 수리를 통하여 좌.우측 케이지 문을 사용함으로써
        적재하중의 편심을 방지하도록 하며 아울러 모타 및 워엄기어장착부에
        핀을 꽂거나 또는 모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 밴딩(Bar Bending)
        이나 브라켓을 설치하여 감속기 모터의 처짐으로 인한 모터 장착용
        볼트의 마모 및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사. 가이드 로울러를 보강
        부착되어 있지않은 가이드 로울러를 레일과 밀착되게 부착하고(2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로울러 이외에  기존설치 방향과 직각이
        되게 보강 설치하며 케이지와 가이드롤러로 부터의 유격을 작게하여
        맞물림 상태를 더욱 향상시킨다.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