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국내 재해사례
  • 제조업

재해사례

게시판 상세페이지
부적합한 줄걸이 훅크 사용으로 인한 H-beam 낙하 사고 2004.06.14
작성자 : 관리자
     제목 : 부적합한 줄걸이 훅크 사용으로 인한 H-beam 낙하 사고
  속보번호: 안전제2002-05호
     날짜 : 2002년 02월
     업종 : 기계기구제조업
   기인물 : 철골
 재해유형 : 협착
 피해정도 : 사망1명

   (재해개요)
  ┏━━━━━━━━━━━━━━━━━━━━━━━━━━━━━━━━━━━┓
  ┃ 자체 제작한 줄걸이 훅크를 사용하여 천정크레인으로 H-beam을 차량으로  ┃
  ┃ 운반작업하던중 권상중인 H-beam이 상차된 H-beam과 충돌하면서 줄걸     ┃
  ┃ 이 훅크로부터 이탈·낙하하여 협착 사망한 재해임                      ┃
  ┗━━━━━━━━━━━━━━━━━━━━━━━━━━━━━━━━━━━┛
   
 [그림 1 ]
 
1. 재해개요 o 2002년 2월 ○일 12:05경 대구광역시 경산소재 (주)○○○ 작업장내에서 자체 제작한 줄걸이 훅크를 사용하여 천정크레인으로 H-beam 운반작업을 하던중 권상중인 H-beam이 상차된 H-beam에 충돌하면서 줄걸이 훅크로부터 이탈· 낙하하여 협착 사망한 재해임. 2. 재해발생 과정 o 변전소 변압기 지지용으로 특수 제작된 H-beam(1.4톤)을 자체 제작한 줄걸이 훅크를 사용하여 천정크레인으로 작업자 3명이 차량에 상차 작업중 - 3개의 H-beam중 마지막 1개를 상차하기 위해 H-beam의 중간에 훅크를 걸고 한손으로는 천정크레인 펜던트스위치를 조정하며 다른 한손으로는 H-beam 끝단을 잡고 균형을 유지하며 상차하는 과정에서 권상된 H-beam이 상차된 H-beam에 충돌하여 줄걸이 훅크에서 이탈·낙하하여 협착 사망한 재해임. 3. 재해발생 원인 가. 부적합한 줄걸이 훅크 사용 o 당시 사용된 줄걸이 훅크는 당해 사업장의 주생산품인 선박용 발전기 프레임 을 권상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사용목적외로 사용하였으며, 줄걸이 훅크가 H-beam 거치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훅크 접촉면이 마모되어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었음. 나. 줄걸이 방법불량 o 중량물 권상시에는 중량물의 균형을 유지하고 안전작업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2줄걸이 이상으로 권상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나 H-beam 권상작업시 2개의 훅크를 H-beam의 중간에 나란히 걸어 1줄걸이 작업과 같은 형태로 작업을 하였음. 다. 중량물취급 작업계획 미작성 o 중량물 취급작업시에는 중량물의 형상 및 종류, 취급방법 및 순서, 작업장소 의 넓이등이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내용을 근로자에게 주지시켜 작업계획서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나 이를 준수하지 않았음. 4. 동종재해 예방대책 가. 전용 줄걸이 훅크 사용 o H-beam 또는 철판 등의 중량물 운반시에는 샤클, 클램프 등 중량물 형상에 적합한 줄걸이 용구를 사용하여 중량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주기적으로 마모, 변형, 파손 등을 점검하여 정상기능을 유지하여야 함. 나. 적합한 줄걸이 방법 사용 o 철근, 파이프 등의 긴 자재 운반시에는 안전작업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2줄 걸이 이상을 사용하여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 다. 중량물취급 작업계획 작성 o 중량물취급 작업시에는 중량물의 형상 및 종류, 취급방법 및 순서, 작업장소 의 넓이등이 포함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내용을 근로자에게 주지시켜 작업계획서에 따라 작업을 실시할수 있도록 함.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