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국내 재해사례
  • 제조업

재해사례

게시판 상세페이지
LPG충전소 화재,폭발사고 2004.10.12
작성자 : 관리자
     제목 : LPG충전소 화재,폭발사고
  속보번호: 안전제2004-17호
     날짜 : 2004년 05월
   기인물 : LPG가스
 재해유형 : 화재폭발
 피해정도 : 사망1명
 다운로드 : 2004-17.hwp

┏━━━━━━━━━━━━━━< 재 해 개 요>━━━━━━━━━━━━━━┓
┃                                                                      ┃
┃ LPG충전소에서 탱크로리(10톤) 차량으로 운반되어온 LPG 가스 이송작업중 ┃
┃ 이송완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액체 및 기체라인 박스의 토출밸브를     ┃
┃ 개방하던중 정전기에 의해 화재·폭발이 발생하여 1명이 화상으로 사망한 ┃
┃ 재해임.                                                              ┃
┃                                                                      ┃
┗━━━━━━━━━━━━━━━━━━━━━━━━━━━━━━━━━━━┛

    
 
 본 속보는 게시판에 게시하거나 근로자 안전교육시 교육자료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중대재해속보>                                                 안전 제2004-17호

1. 재해개요
  
  ㅇ 2004년 5월 ○일 22:00분경 강원도 정선군소재 ○○충전소에서 탱크로리(10톤) 차량
     으로 운반되어온 LPG 가스 이송작업중 이송완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액체 및 기체
     라인 박스의 토출밸브를 개방하던중 정전기에 의해 화재·폭발이 발생하여 1명이 
     화상으로 사망한 재해임.

2. 재해발생 과정  

  ㅇ LPG충전소에서 탱크로리(10톤) 차량으로 운반되어온 LPG 가스를 액체 및 기체라인 
     박스의 토출밸브 개방후 이송펌프를 가동하여 탱크로리에서 저장소로 LPG가스 이송
     작업을 하던중 

     - 이송작업 2시간 경과후 재해자가 LPG 저장소의 액위게이지 고장으로 평소대로 
       액체라인의 토출밸브를 4회정도 개방하여 이송완료 유무를 확인하던중 LPG 가스
       라인 박스내에 체류하던 가스에 재해자 작업복에서 정전기가 방전되어 화재가 
       발생하여 사망한 재해임.

3. 재해발생 원인

 가. 저장소 액위게이지 고장
  
   ㅇ 저장소 액위게이지 고장으로 LPG 이송완료 확인시 여러번 토출밸브를 개방하여 
      다량의 가스가 라인 박스내에 체류하여 화재·폭발의 위험이 있었음.

 나. 정전기 방지용 작업복 미착용 

   ㅇ 액체라인 토출밸브 개폐시 작업자가 나일론 제품의 작업복을 착용하고 토출밸브를 
      여러번 개방하여 작업복에 축적된 정전기가 방전되면서 점화원이 되어 화재가 발생
      할 위험이 있었음.

 다. 저장소내에 불량 소화기 설치 

   ㅇ 화재발생시 저장소내의 불량 소화기가 작동하지 않아 탱크로리 차량내의 소화기로 
      화재를 진압하여 초기 진화가 지연되었음.

4. 동종재해 예방대책
  
 가. 저장소 액위게이지 보수
  
   ㅇ 저장소 액위게이지 보수 및 이송완료시 압력차에 의한 경보음 발생 등의 센서를 
      설치하여 이송완료 여부를 판단하여야 함.

 나. LPG 이송작업시 안전작업준수 철저 

   ㅇ 위험물을 취급하는 LPG 이송작업시 화재·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작업 요령을 
      작성하여 근로자에게 교육시키고 이를 준수하여야 함.

      ① 위험물 이송·충전시 밸브·코크 등의 조작방법 및 접합부의 위험물 누출유무 점검

      ② 압축장치의 조작방법

      ③ 화학설비의 운전 일시 또는 부분 중단시 작업방법과 운전재개시 작업방법

      ④ 이상상태 발생시 응급조치 요령

      ⑤ 위험물 누출시 조치요령 등(소화설비 작동 및 점검)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