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국내 재해사례
  • 제조업

재해사례

게시판 상세페이지
제품건조기의 배기가스 배출설비에 폭발·화재 사고가 발생 2004.06.14
작성자 : 관리자
     제목 : 제품건조기의 배기가스 배출설비에 폭발·화재 사고가 발생
  속보번호: CCPS-9712
     날짜 : 1997년 10월
     업종 : 고무제품제조업
   기인물 : 제품건조기
 재해유형 : 화재폭발
     공정 : 배출설비


   ┌─────────┐
   │ 화재·폭발 사고  │
   └─────────┘

   1. 사고발생 개요

     1997. 10.○○ 21:10분경 여천석유화학단지내에 있는 ○○(주)의
   EP고무 생산공정을 년차보수 작업완료후 시운전 과정에서
   제품건조기의 배기가스 배출설비에 폭발·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음.

   2. 사고발생 설비

     가. 사고발생 공정도
 
        [그림 1] 사고 공정도

     나. 사고발생 공정

        ○ 사고설비는 EP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생산공정의
           후단부로 중합된 EP고무에서 물과 헥산을 제거한 후 건조하는
           공정에서 사용된 공기를 대기로 배출하는 설비.

        ○ 헥산의 물성
          ┌────┬────┬──────┬──────┬──────┐
          │물질    │분자량  │인화점(℃)  │발화점(℃)  │폭발범위(%) │
          ├────┼────┼──────┼──────┼──────┤
          │헥산    │86      │-21.7       │225         │1.1 ∼ 7.5  │
          └────┴────┴──────┴──────┴──────┘

      다. 사고발생당시 상황

         ○ 사고공정(#2 EP Rubber Plant)은 40일간 S/D후 1997. 10. 9 16:30분
            Feed-In 하였음.

         ○ 폭발이 발생한 건조공정은 사고발생 2시간전인 19:00경 가동을
            시작하였음.

         ○ 전공정은 Start-Up 초기상태로 정상적인 운전조건이 아니었음.

         ○ 건조공정 운전시작 2시간 후인 21:10분 건조기부터
            Crumb Catcher, Blower구간에서 폭발이 일어나고 건조기
            상부 덕트(1000㎜Φ)에 쌓여있던 EP Rubber Crumb에 점화되어
            화재가 7분정도 진행됨.

   3. 사고원인

      ○ 가연물

        용매인 헥산은 건조기 이전의 헥산 Stripper에서 Stripping되어
        재순화되고 건조기에는 유입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Start-Up 초기 불안정한 운전조건인 온도, Level 등의
        Upset로 Stripping되지 못한 헥산이 후속공정인 건조공정으로 유입됨.

      ○ 점화원

        폭발의 중심은 Blower의 내부이며 여기에서 점화원은 마찰에
        의한 마찰열, 충격에 의한 Spark, 정전기, 건조열원인 Hot Air등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Impeller의 Balancing Weight에 나타나있는
        충격흔적 등을 볼 때 Impeller와 Housinig간의 마찰에 의한 Spark가
        점화원으로 판단됨.

   4. 동종재해 예방대책

      ○ 건조기 후단에 헥산의 증기를 감지할 수 있는 가연성가스
         누출감지기를 설치하여 검지시, 경보 및 건조기의 운전이
         정지되도록 Interlock 구성하는 것.

      ○ 건조기의 건조매체를 Hot Air에서 불활성기체인 N2로 대체하고
         N2는 재순환시켜 사용토록 공정변경하는 것.

      ○ 장기 Shut-down 중인 공정을 재가동시에는 반드시 Purge를
         실시하는 것.

     

        [그림 2] 사고 Blower

     

        [그림 3] 사고지역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