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재해사례
  • 국내 재해사례
  • 제조업

재해사례

게시판 상세페이지
변압기 절연저항 측정 중 감전 2004.06.14
작성자 : 관리자
     제목 : 변압기 절연저항 측정 중 감전
     업종 : 수송용기계 기구제조업
   기인물 : 가열로변압기
 피해정도 : 사망1명
 재해유형 : 감전
     날짜 : 1992년 04월


  1. 재해개요

       1992년 4월 ○일 10:20분경 전기가열로 전용변압기의 고장으로
     변압기의 1차측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저항계로 측정하려는 순간
     감전, 사망한 재해임.

  2. 재해발생내용

    가. 재해발생 설비
       ○ 설비명 : 변압기
      ┌────┬─────────┰────────┬────────┐
      │ 구 분  │     규     격    ┃    구  분      │    규    격    │
      ┝━━━━┿━━━━━━━━━╋━━━━━━━━┿━━━━━━━━┥
      │정격용량│ 500KVA           ┃1차/2차 정격전압│  21.8KV/220V   │
      ├────┼─────────╂────────┼────────┤
      │주파수  │ 60HZ             ┃1차/2차 정격전류│  22.9A/2,272A  │
      ├────┼─────────╂────────┼────────┤
      │        │                  ┃                │  권선:55℃     │
      │냉각방식│옥외용유입자냉각식┃    온도상승    ├────────┤
      │        │                  ┃                │  유온:50℃     │
      ├────┼─────────╂────────┼────────┤
      │극   성 │ 내철형, 감극성   ┃  제조년월일    │  '91.11        │
      └────┴─────────┸────────┴────────┘

    나. 재해발생전후 상황
       1) 10:20분경 변전실내의 전기가열로 전용변압기(3Φ 450KVA,
           21.8KV/450V)에 이상이 발생하여 동 변압기를 점검코자
          전기안전관리담당자와 보조원(피재자)가 변전실내로 들어감.
       2) 변압기를 점검해본 결과 변압기의 내부가 소손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해체, 수리를 위해 변전실 밖으로 나와 크레인
          운전원에게 전화연락을 하던 중 변전실쪽에서 '펑'하는 소리가
          나서 동료직원이 달려가 보니 피재자가 심한 화상을 입고, 특히
          우측흉부에 피부가 터진상태에서 쓰러져 있음을 발견함.
       3) 사고당시 사고발생 변압기의 C.O.S의 퓨즈가 끊어진 상태였으며,
          변압기의 냉각유 탱크 및 부스의 표면에 전기스파크 자국이 남아
          있었음.

  3. 재해요인분석

    가. 피재자는 고장난 변압기의 절연저항을 측정한 후 다른 변압기의
        절연저항치와 비교하기 위하여 고장변압기 옆에 설치되어 있던
        정상작동 변압기(500KVA)의 절연저항을 측정코자 함.

    나. 우측흉부를 변압기 냉각유탱크에 밀착시킨후 22.9KV로 충전중인
        부스의 절연용 방호판(절연덮개)을 열고 우측손에 절연저항계를
        쥐고 부스에 접촉하는 순간 인체에 3,200V(측정치)의 대지전압이
        인가되어 우측 팔과 우측흉부에 통전전류가 흘러 감전됨.

    다. 감전 당시 인체에 흐른 통전전류의 추정치는 인체에 인가된
        전압(대지전압(V))이 3,200(V)이고 우측팔 및 우측흉부의
        인체저항이 대략 500(Ω)이고, 접지저항이 10(Ω)정도(제1접지공사)
        이므로 통전전류 I=인체인가전압/인체저항+접지저항=3,200/510=6.2(A)
        추정됨.

    라. 전기의 인체통전경로는
        변압기 부스 → 우측팔 → 우측흉부 → 변압기 냉각유탱크 → 대지
        등의 전로가 형성되었으며, 변압기의 외함에는 접지가 되어있는
        상태였음.

  4. 재해원인

    가. 직접원인
        전기계측기 사용 미숙 피재자가 정상작동중인 변압기의
        절연저항을 측정코자 변압기의 1차측 22.9KV로 충전되어 있는
        부스의 절연용 방호관을 열고 절연저항을 측정함.

    나. 간접원인
       1) 절연저항측정시는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실시해야 하나 이를 무시
       2)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한계거리 무시
       3) 전기작업시, 특히 활선작업시는 절연용 보호구(절연모, 절연화,
          절연장갑등)를 지급, 착용해야 하나 미지급
       4) 전기작업시는 2인이상 작업해야 하나 이를 무시

  5. 재해예방대책

    가. 기술적대책
       1) 절연저항측정시는 전원을 차단한 후 실시
       2) 활선작업시는 활선작업용기구(핫스틱 등) 사용 및 절연용보호구
          (절연모, 절연화, 절연장갑 등) 착용하고 충전전로에 대한 다음의
          접근한계거리 유지
         ┌──────────────┬─────────────┐
         │     충전전로의 사용전압    │       접근한계거리       │
         │         (단위:KV)          │         (단위:cm)        │
         ├──────────────┼─────────────┤
         │       22이하               │            20            │
         │       22초과  33이하       │            30            │
         │       33초과  66이하       │            50            │
         │       66초과  77이하       │            60            │
         │       77초과 110이하       │            90            │
         │      110초과 154이하       │           120            │
         │      154초과 187이하       │           140            │
         │      187초과 220이하       │           160            │
         │      220초과               │           220            │
         └──────────────┴─────────────┘
       3) 정전작업시는 전원을 차단한 개로 개폐기로 시건장치 및 통전금지
          표지판 부착, 전력케이블 등의 잔류전하방전, 검전기로 충전여부확인
          및 단락접지를 실시한 후 작업실시
       4) 변전실주위의 접근금지용 울타리에 접지실시

    나. 교육적 대책
       1) 전기작업시는 안전수칙의 숙지 및 준수
       2) 전기안전에 대한 안전교육 철저
       3) 절연용 보호구의 착용방법숙지

    다. 관리적대책
       1) 절연용보호구(절연용 안전모(AE종, ABE종), 절연용 고무장갑,
          절연용 고무장화 등)를 구입, 지급하고 착용상태를 수시감독
       2) 활선작업시는 반드시 2인이상 작업토록 독려
       3) 변전실 등 고압전기의 위험장소에는 안전수칙 게시 및 접근금지표시 부착
       4) 정전작업시는 정전작업요령을 작성하고 안전교육을 통해 숙지토록 조치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