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법령/고시
  • 고시 및 지침
  • 안전보건용어사전

고시 및 지침

게시판 상세페이지
갈석면 (褐石綿, amosite) 2016.11.10
작성자 : 관리자
분자식은 (FeMg)SiO4로 섬유성 규산염 광물질 중에서 각섬석계의 연갈색을 띄는 섬유상 커밍토나이트-그루너라이트로 함철변성 퇴적암층에서 산출되는 석면으로 불연성 섬유로 되어 있어 내열성·내압성·내산성·내마모성·항장성 등이 뛰어나 합판형 내장재·단열재·슬레이트·아스타일·방열장갑 등의 제조에 주로 사용되었었다. 석면폐증·폐암 및 소화기암과 중피종(中皮腫)을 일으킨다. 석면폐증은 폐간질 조직의 미만성 섬유화를 초래하고, 때로는 흉막의 섬유화와 석회화를 동반하고, 일반적으로 석면에 처음 폭로된 때로부터 수년 후에 만성장해로서 석면폐증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일단 석면폐증에 이환되면 석면폭로를 중단하더라도 병세는 진행된다. 폐실질의 염증에 이어서 폐흉막이 비후하는 경우가 많으며, 기관지폐암과 늑막 및 복막의 중피종과의 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암, 대장암 및 직장암의 발생률도 높아진다고 한다. 날카롭게 생겼고 폐에서 용해되려면 100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유해성은 백석면보다 높으나 청석면보다는 낮다. 석면취급자에게서는 흡연이 강력한 발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석면취급자 중 흡연자에게서의 폐암발생률은 비흡연자에 비하여 15배가량 높다고 한다. 산업안전보건법상 제조 등의 금지 대상물질로서 건강관리수첩 교부대상 및 특수건강진단 대상 화학물질로 규정하고 있다. 노출기준은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으로서 0.1 개/㎤이다.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