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알림소식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및 기고문
  • 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페이지
무리한 중량물 작업, 근골격계질환 불러온다 2016.10.20
작성자 : 관리자 첨부파일첨부파일(3)

무리한 중량물 작업, 근골격계질환 불러온다
최근 5년동안 매년 5,000명 이상의 근골격계 질환자 발생
50대 이상 장년, 소규모사업장, 제조업 근로자에서 주로 나타나

□ 안전보건공단이 최근 5년간 발생한 업무상 질병자 발생통계를 분석한 결과, 근골격계질환자가 매년 5천명 이상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근골격계질환 중에서는 중량물 들기 등 허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생기는 요통질환자의 발생이 많았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 신체부담으로 인한 질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업종별 발생현황을 분석한 결과, △제조업에서 근골격계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그 뒤를 이어 △기타의 사업(서비스업) △건설업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 사업장 규모별에서는 50인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장이, 연령별에서는 50대 이상의 장년(고령) 근로자 계층에서 근골격계질환자의 발생이 많았다.

□ 이에 따라, 안전보건공단은 요통질환 예방을 위해 올바른 들기 자세 실천운동(3N운동)과 작업전 스트레칭 안내,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신체부담으로 인한 질환 예방을 위해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 작업환경개선, 유해성 주지 중심의 기술지원 사업(약 5,700여 개소)에 나서고 있다.
○ 특히, 중소업체 유해요인조사 제도이행 향상을 위해 근골격계질환자가 다수 발생하는 50개 직종(서비스업종)을 선정하여 유해요인조사 가이드를 개발·보급하고 있으며,
○ 근골격계부담작업을 보유한 소규모 사업장 대상으로 작업환경개선 비용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 이와 함께 전국 21개소 근로자건강센터를 통해 소규모 사업장 밀집지역 근로자를 대상으로 증상호소자 개인별 맞춤 운동처방 및 운동지도 등 근골격계질환 상담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 류장진 공단 직업건강실장은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작업환경 개선, 작업방법, 작업시간 조정 등과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며, “특히, 요통같이 개인적인 요인이 많이 작용하는 질환의 경우에는 올바른 작업자세와 스트레칭 등 평소 건강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끝)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