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알림소식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및 기고문
  • 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페이지
우리 회사 건강지수는 몇 점? 2016.05.11
작성자 : 관리자 첨부파일첨부파일(1)

우리 회사 건강지수는 몇 점?
안전보건공단, 한국형「기업 건강증진지수」개발·보급
‘사업장 건강 위험도’및‘건강증진 활동방향’제시


 

□ 안전보건공단(이사장 이영순)은 사업장의 건강증진 활동수준과 취약분야를 쉽게 알 수 있는「기업 건강증진지수」를 개발·보급한다.

 ○「기업 건강증진지수」는 사업장 스스로 건강수준을 파악하고, 취약부분을 보완해 효율적인 건강증진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개발되었다.

□ 제시된 3개 분야의 20개 평가항목을 입력하면, 해당 사업장의 종합적인 건강수준을 100점을 만점으로 점수화 하여 알려준다.

 ○ 3개 평가분야는 ‘근로특성’과, ‘건강실태’, ‘건강증진 활동현황’ 등으로,
  - ‘근로특성’의 경우, 사업장의 장년근로자 수, 고객응대 업무 근로자 수 등의 내용이며, ‘건강실태’는 사업장의 최근 3년간 근골격계질환자 수 등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건강증진 활동현황’은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과 뇌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스트레스 관리와 생활습관 개선활동 현황을 입력하면 된다.

□「기업 건강증진지수」는 사업장의 종합적인 건강수준뿐만 아니라, 평가항목을 통해 사업장의 건강상의 잠재 위험도와 요구되는 건강증진 분야도 알려준다.

 ○ 예를 들어, 5점 척도로 된 ‘잠재 위험도’는 장년이나 장시간, 고객응대 업무 등의 근로자 비율이 높을수록 위험도가 높게 나타나며, ‘요구되는 건강증진분야’는 근골격계질환, 뇌심혈관질환, 스트레스, 생활습관개선 분야 등 4개 분야를 점수화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 지수는 국내 산업현장에 증가하고 있는 근골격계질환, 직무스트레스 등의 질병발생 특성과 고령·장시간·야간·교대근무 등의 근로특성 등을 반영한 기업건강증진활동에 대한 첫 번째 한국형 평가도구로써 의미를 갖는다.

□「기업 건강증진지수」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에서 평가 서식을 내려 받아 사용하면 되며, 활용을 돕기 위한 평가 매뉴얼도 같이 제공된다.

□ 한편, 안전보건공단은「기업 건강증진지수」의 확산을 위해 5월 4일 서울에 소재한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전국기업체산업보건협의회 등 5개 근로자 건강증진 유관단체*들과 업무협약을 맺는다.

   * 건강증진 5개 유관단체 : 전국기업체산업보건협의회, 보건관리대행기관협의회, 건강증진개발원, (사)한국산업간호협회, (사)한국산업보건협회

 ○ 안전보건공단은 이들 단체들과 협약을 통해 회원사 및 소속 사업장에「기업 건강증진지수」를 보급하고, 사업장 보건관리자 교육에 활용하는 등사업장 활용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 이영순 안전보건공단 이사장은 “근로자의 건강은 기업과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필수적인 요소”라며, “사업장 스스로 건강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통해 기업의 건강증진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끝)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