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알림소식

  • 알림소식
  • 보도자료 및 기고문
  • 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페이지
‘ 산업현장 근골격계질환 조심하세요 ’ 2015.10.15
작성자 : 관리자 첨부파일첨부파일(1)

 ‘ 산업현장 근골격계질환 조심하세요 ’
업무상질병자 10명중 7명으로 발생비중 가장 높아
안전보건공단, 5천 700개 사업장 중점 기술지원 등 추진


<사례 1> 경기도 소재 자동차공장에서 ㄱ씨(54세, 남)가 허리와 팔을 이용해 약 40kg가량의 자동차 외장재
              정리작업과 일일 25회 이상의 10kg의 물체를 반복적으로 옮기는 작업을 담당하던 중 허리쪽에
              통증을 호소함.


<사례 2>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조립공장에서 불안정한 자세로 장비를 반복적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을 하던
             ㄴ씨(42세, 남)가 허리에 통증이 발생하여 산업재해 요양승인을 신청함.


□ 이처럼 산업현장에서 신체 일부분의 과도한 사용이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동작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근골격계질환이 업무상질병자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5년간 근골격계질환은 매년 5천명 이상이 발생, 전체 업무상질병자 10명 중 7명을 차지, 산업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군으로, 2011년부터 소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업무상질병 : 근골격계질환, 뇌심혈관계질환, 화학물질로 인한 직업병 등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질병


□ 안전보건공단이 지난해 산업재해로 인한 근골격계질환자 5천 174명을 분석한 결과,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2천 368명의 재해자가 발생(45.8%)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908명이 발생한 서비스업, 559명이 발생한
   건설업 순으로 많았다.


□ 사업장 규모별로는 50인 미만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3천 431명의 질환자가 발생해 전체 근골격계질환자의
   66.3%를 차지했으며, 연령별로는 40대가 가장 많고, 50대이상의 장년층의 발생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따라, 안전보건공단은 올해 자동차 제조 등 근골격계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업종의 약 5천 700여개 
   사업장을 선정해 이에 대한 중점 기술지원에 나서고 있으며,


 ○ 사업장에서 근골격계질환예방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중량물 취급주의 및 건강스트레칭 포스터와
     장년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자료, 동영상 등을 사업장 방문 및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보급하고 있다.

     * 사업안내/신청> 직업건강 > 근골격계질환 예방 > 기술자료 및 동영상 자료


 ○ 또한, 올해 근골격계부담작업 보유사업장 3,353개소에 대하여 현재까지 작업환경 개선비용 23,542백만원을
     지원하였으며,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수립을 위한 컨설팅 등의 지원에 나서고 있다.


□ 안전보건공단 관계자는 “근골격계질환은 2010년 이후 매년 5천명대 수준으로 질환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장년근로자와 5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에서의 근골격계질환예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체계적
    예방활동이 요구된다.”고 말했다.(끝)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