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투명성 및 사용성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김창원 외 3명
수 행 연 도
2021년
핵 심 단 어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사용항목 개선,안전보건관리비 사용기준,전자적 시스템,투명성 및 사용성 개선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o 정부는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63호로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계상과 사용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나, 원청이 동 비용을 목적 외로 사용하는 등 부적절한 집행 사례에 대한 지적이 국회 및 언론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음
o 현행 고시에 사용불가 항목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재해예방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기존 제품 및 IoT, ICT 등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에 대한 산업계의 사용항목 인정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o 이에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투명한 집행을 위한 시스템적 대책 마련과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업계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성 개선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2. 연구결과
o 이론적 고찰 및 발주기관, 건설사, 재해예방전문지도기관 등 이해관계자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사용, 감독 주체 대상 실태조사 모형을 설계하였음
o 사용항목 중 기존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도입 시급성과 근로자 재해예방 효과성 측면에서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도입이 필요한 항목은 교통안전시설물, 방폭등, 헤드랜턴 및 절연용 방호구 등 총 9종으로 조사되었음
o 사용항목으로 인정이 새롭게 필요한 신기술 제품의 분석 결과, 도입 시급성과 근로자 재해예방 효과성 측면에서 도입이 필요한 항목은 스마트 안전모, 에어백 내장 안전조끼, 굴삭기 버켓 안전핀 체결 알림장치 등 총 12종으로 조사되었음
o 현행 제도의 실효성 인식도 분석 결과, 이해관계자의 대부분(약 93%)이 본 제도가 근로자 재해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음
o 그 외 제도 개선사항에 대한 조사 결과, 고시 별표 1의3으로 운영 중인 설계변경에 따른 재계상 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조사되었음
3. 연락처
o 연구책임자 : (재)한국조달연구원 부연구위원 김창원
o 연구상대역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연구실 대리 전소영
o 연락처 :  052) 703. 0848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