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산안법 개정에 따른 허용기준 설정 유해인자의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 1,2-디클로로프로판, 일산화탄소

연구책임자
노지원 외 2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2020년 1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개정으로 직업병이 발생하거나 CMR(발암성·생식독성·변이원성) 등 고유해성으로 인한 직업병 발생우려가 있는 24종을 허용기준 설정 유해인자에 추가하여 총 38종으로 대폭 확대하였음.
○ 허용기준 설정 유해인자로 추가되는 물질 중 1,2-디클로로프로판과 일산화탄소는 국내 측정분석 관련 지침이 없기 때문에 허용기준 초과여부 감독 및 노출수준의 관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작업환경 측정·분석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


2. 주요 연구내용


[1,2-디클로로프로판]
○ 1,2-디클로로프로판의 작업환경측정·분석방법인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NMAM(Niosh Manual of Analytical Method)는 Anasorb tube 매체를 이용하여 채취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프의 ELCD(Electrolytic
Conductivity Detector(HALL))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지만 ELCD는 국내에서 거의 유통되지 않는 검출기이기 때문에 주로 통용되는 불꽃이온화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 FID)와 전자포획검출기(Electron Capture Detector, ECD)를 이용하여 1,2-디클로로프로판의 검출여부 및 검출한계를 실험하였으며, 검출한계는 0.0023~0.0057mg/mL 수준이었고 FID를 이용한 분석의 직선성이 더 우수하였음.
○ 1,2-디클로로프로판 측정매체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NMAM 1013 에 있는 매체(Anasorb 747, SKC 226-81A) 및 CSC 활성탄관(SKC 226-01)을 이용한 측정 후 농도를 비교하였으며 한 달간 저장 안정성을 실험한 결과 회수율은 82.9-101.6% 수준으로 NIOSH와 OSHA의 가이드에 있는 기준(회수율 75%이상)을 만족하였음.
○ 1,2-디클로로프로판의 노출기준인 10 ppm을 기준으로 하여 챔버를이용한 적정포집유량 산출 결과 Anasorb tube 매체는 2-10 L, CSC tube 매체는 5-10 L임.
○ 허용기준 준수여부 평가 시 사용하는 시료채취분석오차(SAE)는 분석 정밀도와 시료채취용 펌프의 변이(5%)를 적용하여 95% 신뢰구간 (±1.96×SEE)으로 계산하였으며, 산출결과 ECD 분석에서 이황화탄소 용매를 사용했을 때 ±9.86%이고 15% 아세톤을 함유한 시클로헥산 용매 사용 시 ±9.88%, FID 분석에서 이황화탄소 용매 사용 시 ±10.04%, 15% 아세톤을 함유한 시클로헥산 용매 사용 시 ±9.85%였으며 OSHA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전체추정표준오차의 신뢰구간 ±25%의 기준을 만족하였음.


[일산화탄소]

○ 국내외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일산화탄소 측정분석 방법을 검토하였으며 직독식 장비, 가스크로마토그래프, 검지관, 패시브 도시미터를 이용한 측정분석 방법 중에서 직독식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음.

○ 일산화탄소의 측정 시간은 검지관과 소음을 측정하는 방식을 참고하여 연속측정 및 등간격으로 나누어 측정하는 방법을 동시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시료채취분석오차(SAE)는 OSHA와 NIOSH
method에서 제시한 오차와 국내 유통되는 직독식 장비의 오차를 고려하여 0.1로 제안하였음.


3. 연구 활용방안
○ 1,2-디클로로프로판과 일산화탄소의 허용기준 초과여부 감독 및 노출수준의 관리
○ 1,2-디클로로프로판과 일산화탄소 작업환경측정·분석결과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노지원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