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화학물질 및 생활요인 유발 간질환 독성발현경로 구축 및 비교 연구

연구책임자
이용훈 외 1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AOP는 전통적인 독성평가에서 분자 수준의 지표를 유해성평가 같은 규제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한 프레임워크이다. 노동자에게서 간질환은 유병율이 높은 질환이나 근로환경에서 화학물질로 인한 영향과 개인 생활에 의한 영향을 구별하는 것은 현재 건강검진에서는 어렵다. AOP는 기존 평가방법을 대체하여 분자 수준에서 간질환의 예측이 구별이 가능하며, 또한, 이런 간질환 AOP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학물질이 근로자의 생활요인으로 인한 기저 간질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OECD AOP Wiki 등 데이터 베이스와 여러 문헌을 바탕으로 주요 간질환 AOP를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화학물질 유발 및 생활요인 간질환을 비교하고, 공통 KE를 확인하여 화학물질이 생활요인 간질환에 대해 어떤 기전을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화학물질요인 간질환과 생활요인 간질환으로 간질환 재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AOP Wiki에서 관련 AOP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련 문헌 등을 수집하여 AOP를 작성하였다. AOP Wiki를 통해 수집한 AOP는 화학물질 유발 간질환은 화학물질 유발 간질환 AOPAOP Wiki로부터 간손상 1, 간지방증 5, 간섬유증 1, 간암 3, 기타 1개 총 11개를 수집하였으며, 약물 간질환 AOP는 간손상 1, 간지방증 2, 간섬유증 2, 간암 5, 담즙정체 1개로 총 11개를 수집하였다.
생활요인 간질환중 알코올 간질환 AOP는 간손상 2, 간지방증 4, 간섬유증 2, 간암 1개로 총 9개를 작성하였다. 비알코올 간질환 AOP 중 비만관련으로는는 간손상 3, 간지방증 4, 간섬유증 3, 간암 6개로 총 15개를 작성하였다. 당뇨병 관련 AOP는 간손상 1, 간지방증 2, 간섬유증 1, 간암 3개로 총 7개를 작성하였다. 따라서, 비알코올 간질환에서 총 22AOP를 작성하였다. 또한, 약물 간질환 AOP는 지방증 3개를 AOP를 작성 하였다. 바이러스 간염 AOP A형 간염은 간손상 1개으로 총 1, B형 간염은 간손상 1, 지방증 1, 섬유증 1, 간암 3개로 총 6개를 작성 하였으며, C형 간염은 간손상 2, 지방증 2, 섬유증 1, 간암 1개로 총 6개를 작성 하였다. 따라서, 바이러스 간염 AOP13개의 AOP를 작성하였다.
그 외, 기타원인 간질환 AOP 중 면역장애 원인에서 자가 면역 간질환은 간손상 3, 원발성 담관 경화증은 담관 경화증 AOP 1개를 작성하였으며, 유전 및 대사장애 원인 중 혈색소 침착증 및 윌슨병은 간손상 AOP 1개를 작성하였다. 따라서, 6개의 AOP를 작성하였다.
화학물질 및 생활요인 유발 간질환 AOP 네트워킹 구축 결과 화학물질 간질환 AOPKE에서 Cyp2E1 활성, 산화스트레스, 미토콘드리아 기능이상,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베타 산화 억제, CD36 상향 조절, SCD-1 상향조절, PPARα 활성 및 억제, PPARγ 활성, ChREBP SREBP 활성, LXRα 활성을 통해 생활요인 간질환 AOP와 연결되었으며, 화학물질 유발 AOP AOP37, AOP60, AOP220은 생활요인 간질환 AOP에서도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AOP를 통해서 화학물질 요인 간질환과 생활요인 간질환의 병인기전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학물질 및 생활요인 유발 간질환 AOP의 네트워크를 제시하여 화학물질이 생활요인 간질환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하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병리검사부 이용훈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