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건설업 직종별 노출 유해인자, 노출량, 노출분율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박현희 외 3명
수 행 연 도
2020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건설업 근로자는 다양한 유해인자에 복합적으로 노출되는 유해성이 높은 직종으로, 일반 업종의 근로자와 비교하여 암, 호흡기 질환, 근골격계질환, 피부종양 및 접촉성 피부염 등의 발생이 높다는 보고가 있음.
○ 건설업 근로자는 작업장 이동이 많고, 단위작업 장소에서의 작업시간이짧으며, 작업환경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으로 인해 노출되는 유해인자의 종류, 농도수준 및 특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못함.
○ 이번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업 근로자의 주요 직종별 노출 유해인자, 노출량, 노출분율 및 주요 유해인자 발생단위작업을 파악하여, 건설업 작업환경측정 제도 개선 및 직업성 질환 연관성 규명 등에 활용하고자 함.


2. 주요 연구내용


○ 최근 10년간(2009 ~ 2018년) 건설업 직업병(진폐 제외) 610건을 질병별로 살펴보면, 소음성 난청 145건(24%), 세균바이러스 124건(20%), 직업성 암 77건(13%), 물리적 인자로 인한 질병 75건(12%), 석면 57건(9%), 이상기압 42건 (7%) 등 순이었음. 소음성 난청은 착암공, 견출공, 단순노무, 석공, 토공에서, 물리적 인자에 의한 질병(열사병 등)은 단순노무, 조경공, 철거공, 형틀목공에서, 세균바이러스는 조경공에서, 직업성 암은 석공,

견출공, 착암공, 용접공, 보온공에서, 석면에 의한 질병은 보온공, 철거공, 배관공에서, 유기화합물에 의한 질병은 도장공에서 다수 발생하였음.
○ 건설업에서의 작업환경측정은 실시 사업장 수 기준으로 2013년 (상반기) 696개 사업장에서 2019년 (하반기) 3,528개 사업장으로, 유해인자별 실시건수로는 2013년 (상반기) 15,710건에서 2019년 (하반기) 138,081건
으로 증가하였음.
○ 작업환경측정 측정건수가 가장 많은 유해인자(2013~2019)는 소음(26%), 기타광물성분진(12%), 산화철분진과 흄(6%), 이산화티타늄(5%), 규산염(5%), 망간 및 그 무기화합물(5%), 용접흄(4%) 등의 순으로 나타났음.
다만, 작업환경측정 결과 입력 시 건설업에 특화된 표준공정이 없어 대부분 ‘기타’로 분류하여 공정별 발생현황 파악에 한계가 있었음.
○ 건설업 작업환경분야 전문가 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수가 가장 높았던 유해인자는 소음 > 부적절한 자세 > 폭염/한랭> 중량물 취급 > 결정체 산화규소(이하 ‘실리카’) > 시멘트/콘크리트 분진 > 진동 > 금속흄 > 유기용제류 순이었음.
○ 유해인자별 응답수준을 고려한 노출위험도 (노출량 × 노출분율)가 높은 상위 직종은 다음과 같았음.
- 소 음 : 형틀목공 (7.6) > 착암발파공 (6.54) > 견출공 (6.35) > 철근공 (6.35) >콘크리트공 (5.9) > 토공 (5.86) > 철거공 (5.85) > 건축목공 (5.48) > 건설기계운전원 (5.44) > 비계공 (5.33) 등

- 진 동 : 견출공 (6.96) > 착암발파공 (4.15) > 콘크리트공 (3.98) > 토공 (3.38) >철거공 (3.35) > 건설기계운전원 (2.97) 등
- 폭염/한랭 : 형틀목공 (8.41) > 콘크리트공 (7.11) > 철거공 (6.89) > 토공 (6.69)> 조경공 (6.65) > 비계공 (6.27) > 방수공 (5.68) > 도로포장공 (5.58) > 철근공(5.51) > 석공 (5.45) > 용접공 (5.25) 등
- 유해광선 : 용접공 (6.73) > 철근공 (2.84) > 플랜트공 (2.63) > 철골공 (2.42) >배관보온공 (2.08) > 기계설비공 (1.75) > 토공 (1.36) 등
- 유기용제류 : 도장공 (5) > 도로포장공 (4.5) > 방수공 (4.25) > 플랜트공 (3.11)> 내장유리공 (2.8) > 창호목공 (2.34) > 코킹타일공 (2.12) 등

- 에폭시/우레탄 : 방수공 (3.54) > 도장공 (2.99) > 내장유리공 (2.5) > 창호목공(1.75) > 코킹타일공 (1.26) 등

- 이소시아네이트 : 창호목공 (4.08) > 내장유리공 (3.5) > 배관보온공 (2.67) > 방수공 (2.4) > 도장공 (2.2) > 코킹타일공 (2.04) 등
- 금속흄 : 용접공 (6.55) > 설비공 (3.9) > 철골공 (3.53) > 토공 (2.98) > 배관보온공 (2.81) > 플랜트공 (2.51) > 철거공 (2.33) >기계설비공 (2.17) > 석공 (2.06)
> 창호목공 (1.86) 등
- 6가크롬 : 용접공 (3.21) > 플랜트공 (1.45) > 미장공 (1.5) > 철거공 (2) > 기계설비공 (2.33) > 배관보온공 (1.5) 등
- 시멘트/콘크리트 : 견출공 (6.27) > 조적공 (5.39) > 미장공 (5.34) > 철거공(4.76) > 콘크리트공 (4.63) > 형틀목공 (3.12) > 코킹타일공 (3.07) 등
- 실리카 : 콘크리트공 (5.56) > 건설기계운전원 (5.39) > 착암발파공 (5.07) > 견출공(4.9) > 석공 (4.79) > 조적공 (4.55) > 철거공 (4.14) > 미장공 (4.02) 등
- 디젤엔진배출물 : 건설기계운전원 (5.3) > 토공 (3.99) > 포장공 (3.88) > 착암발파공 (3) > 철골공 (2) 등
- 목분진 : 건축목공 (4.1) > 내장유리공 (3.54) > 형틀목공 (3.29) > 철거공 (2.78)> 창호목공 (2.73) > 철골공 (2.25) > 토공 (1.63) 등
- 중량물 취급 : 철근공 (6.72) > 미장공 (6.03) > 조적공 (5.5) > 비계공 (5.25) >형틀목공 (5.06) > 창호목공 (4.68) > 석공 (4.61) > 콘크리트공 (4.57) > 철거공(4.46) 등
- 부적절한 자세 : 철근공 (6.14) > 콘크리트공 (6.11) > 창호목공 (5.5) > 코킹타일공 (5.48) > 조적공 (5.46) > 철골공 (5.38) > 비계공 (5.29) > 용접공 (5.26) >조경공 (5.18) > 형틀목공 (5.15) 등
- 석면은 철거공에서 노출위험이 있었고, 납은 철골공, 도장공, 철근공에서, 이상기압은 잠수공에서, 일산화탄소는 토공과 착암/발파공에서, 목재방부제는 형틀목공, 건축목공에서, 아스팔트흄은 포장공에서, 미생물은 토공에서 노출위험이있었음.
○ 설문조사를 통한 노출량 평가결과를 연구원 노출평가 자료와 비교하면, 과소평가되어 있었음. 연구원 평가결과와 노출모델을 통한 농도예측 결과는 매우 유사하였으며, 농도 예측프로그램은 유해인자 저감 방안 마련 등에 활용 가능하였음. 분진의 경우, 작업면의 수분 함유율 증가 > 오염원및 작업자에 대한 국소환기 > 전체환기 순으로, 유기용제류의 경우, 작업공간 특성(실내/실외) > 시간당 도장면적 (도료사용량) > 주변 건물의 유무 (전체환기율) 등 순으로 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음.


- 시 사 점
○ 건설업 근로자는 다양한 유해인자에 복합적으로 노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유해인자별 노출위험도가 높은 직종에서 관련 직업병 발생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 건설업 근로자는 직종에 따라 노출 유해인자 및 직업병 발생 특성이 상이하므로, 건설업 작업환경측정 실시를 단위작업장소별 구분이 아닌 직종별-단위작업(직무)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직무에 대한 구분, 직무별 측정결과에 대한 평가방법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함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 건설업에 특화된 작업환경측정 제도 마련 및 표준공정 또는 직종별 작업환경측정 필수 유해인자, 측정수, 측정시기 등에 대한 건설업 작업환경측정 가이드라인 개발 필요
○ 건설업 노출모델을 통한 유해인자 농도예측 프로그램 개발 및 위험성 평가 등 활용을 위한 추가연구 필요.
- 활 용
○ 건설업에 특화된 작업환경측정 제도의 마련 및 작업환경측정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로 활용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환경연구실 박현희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