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물질안전보건자료 최신화 관리(2018년)

연구책임자
이승규 외 14명
수 행 연 도
2018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약 4만종 이상의 화학물질이 유통 및 취급되고 있다. 환경부의 2017년 5월 보도 자료인‘2014년도 화학물질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화학물질의 취급 업체 수는 22,661개소이며, 16,150종의 화학물질 4,969백만 톤이 유통되었다. 화학물질에 대한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직·간접적 사고 발생률과 재해 및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MSDS는 화학물질 취급 종사자들에게 유해·위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재해 및 직업병을 예방하기 위해 도입되어왔다. 하지만, 일부 기존 MSDS의 유해·위험성 정보는 출처의 불명확성 및 난해한 문구 및 근로자들의 건강장해 예방책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파악된다. 본 과업의 목적은 고용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및 고용노동부 고시(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의 개정에 따라 공단에서 보유하고 있는 MSDS DB 화학물질을 개정된 고시에 적합한 형태로 유해?위험성을 분류하고, 정보내용을 최신화하여 안전보건 관련업무 종사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DB화하는 것이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방법 및 결과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6-19호, 6차 UN GHS 지침서 및 GHS 화학물질 유해·위험성 분류 및 MSDS 작성 매뉴얼을 토대로 최신화 대상 화학물질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엑셀 형태로 DB화하여 교차검토 및 외부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위험성은 48%의 평균 최신화율, 인체 위해성은 51%, 환경 유해성은 55%의 평균 최신화율을 나타냈다. 물리화학적 특성 항목에 대한 최신화는 성상(79%)과 녹는점/어는점(72%), 용해도(70%)에서 가장 최신화율이 높았으며, 증발속도(0.13%)와 냄새역치(0.9%)에서 낮은 최신화율을 나타냈다. 건강유해성 항목에서는 급성 경구독성(67%)과 피부 부식성/자극성(57%)이 높은 최신화율을 나타냈으며, 호흡기 과민성(1.7%)과 흡인 유해성(1.6%)이 가장 낮은 최신화율을 나타냈다. 환경 유해성의 항목은 갑각류독성(54%)이 가장 높은 최신화율을 나타냈으며, 잔류성(15%)이 가장 낮은 최신화율을 나타냈다. 제시된 최신화율은 기존 MSDS정보에 비교하여 산출된 것이며, 분류 최신화율의경우 절대적인 구분 값의 변화로 해석될 수 없다.최신화된 MSDS를 통하여 명확한 출처 및 시험법의 표기 등으로 보다 신뢰도 높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한 작업 수행과 더불어 기업 의 MSDS작성 가이드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최신화가 완료된 물질 3,000종에 대하여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체 MSDS에 대해 국내·외 최신 규제현황으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MSDS 구축 시 자료의 일관성 유지 및 명확한 분류근거의 제시를 통하여 MSDS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활 용 개정된 고시에 따라 최신화된 MSDS 분류표시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업장 및 안전보건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업데이트된 화학물질 분류·표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4. 연락처 - 연구책임자: ㈜티오이십일 이승규 팀장 - 연구상대역: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정수진

문의처

위로가기